실시간 뉴스
  • 非은행권, 가계대출 1년새 19조 늘었다..가계부채 ‘뇌관의 핵’ 부상
[헤럴드경제 = 최진성 기자]비은행권 가계대출이 가계부채 문제의 핵으로 떠올랐다. 지난해 6월 발표한 ‘가계부채 연착륙 종합대책’으로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를 잡기는 했지만 비교적 관리ㆍ감독이 소홀했던 비은행권의 경우 가계대출 규모가 줄지 않고 있다.

실제로 올 4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3.8%에 불과했지만 비은행권은 11.5%로 집계됐다.

비은행권은 은행권을 이용할 수 없는 대출 수요자가 많이 찾는 곳으로 그만큼 부실 가능성이 크다.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4일 한 조찬강연에서 “비은행권 가계대출 비중이 상승하고 있다”면서 우려를 표명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5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상호저축은행과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 4개 비은행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185조119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9조322억원 증가했다. 반면 은행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454조4649억원으로 지난해 4월보다 16조7970억원 늘었다.

잔액는 은행권이 2배 이상 많지만 증가율은 비은행권이 훨씬 높다. 올 들어서도 4월까지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1조3918억원 줄었지만 비은행권은 1조3701억원 늘었다. 그만큼 가계대출에서 비은행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권역별로 보면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16.4%(1조4151억원)로 가장 높았다. 세 차례 구조조정으로 총자산이 절반 가까이 줄었지만 가계대출은 오히려 증가한 것이다. 새마을금고의 가계대출도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4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13.8%로, 4조1123억원이나 늘었다. 같은 기간 단위농협, 수협 등 상호금융과 신협의 가계대출 증가율도 각각 10.7%(11조5637억원), 10.2%(1조8541억원) 등으로 두 자리수를 기록했다.

문제는 비은행권의 가계대출이 은행권보다 부실 가능성이 크다는 데 있다. 비은행권의 대출 금리가 은행권보다 높은데다 상대적으로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고위험군 대출자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비은행권의 대출 연체율을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이 11.85%로 2010년 말보다 2%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같은 기간 상호금융 연체율은 신협 6.01%, 산림조합 5.64%, 수협 4.62%, 단위농협 2.99% 등으로 집계됐다. 은행권의 연체율(5월 기준) 1.37%이다.

이규복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권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면서 생활안정 자금 수요가 비은행권으로 많이 몰리고 있다”면서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소득은 개선되지 않고 빚만 늘고 있어 연체율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