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버스 적자 주범 광역버스체계 고친다
-노선 경기도 이관…출퇴근 시간만 운행 버스 검토

-장거리 운행 노선은 구간 잘라 환승시스템과 연계

[헤럴드경제=황혜진 기자] 서울시가 시내버스 준공영제 개선을 위해 광역버스제도를 전면 수정키로 했다.

광역버스는 매년 2000억원 이상 발생하는 적자의 주범으로 지적돼 왔다. 시는 광역버스 노선을 경기도에 이관하거나 입찰에 붙여 운영을 맡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운행 거리가 긴 노선은 이용률이 저조한 구간을 잘라 환승시스템과 연계시키는 방식으로 노선을 분리하고 중복노선은 수요가 많은 버스노선에 몰아주는 식으로 정리된다. 출ㆍ퇴근 등 특정시간에만 운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광역버스도 도입된다.

4일 서울시에 따르면 광역버스 1개 노선당 하루 손실은 525만 8505원으로 버스 전체(일반+광역) 평균 하루 손실(161만 2820원)의 3배를 웃돈다. 현재 운행중인 광역버스 노선은 13개로 전체(368개)의 3%에 불과하지만 매년 발생하는 2100억원의 적자 가운데선 11% 넘게 차지하고 있는 것. 이는 광역버스 특성상 특정시간대만 수요가 있지만 상시운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시는 광역버스 노선을 경기도에 이관하거나 입찰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광역버스 특성상 경기도민이 많이 이용하는 노선에 한해 버스 면허를 경기도로 이관하겠다는 것이다. 면허가 경기도로 이관되면 시는 해당 버스회사에 지원금을 줄 필요가 없다. 시는 조만간 시ㆍ도간 면허이관을 위한 협의에 들어갈 계획이다.

시 도시교통본부 관계자는 “면허이관은 버스회사의 자율선택사항으로 서울의 준공영제와 경기도의 민영제 중 선호하는 쪽을 선택할 것”이라면서 “이로 인해 광역버스 전 노선이 경기도에 이관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노선에 대한 수정도 들어간다. 60~80㎞의 유독 긴 장대노선은 노선을 잘라 이용률이 적은 노선은 과감히 폐선한다. 폐선된 경우 환승시스템과 연계해 최대한 주민불편을 줄일 계획이다.

중복노선은 수요가 많은 버스에 노선을 몰아주는 형식으로 통폐합하고 수요가 적은 노선은 폐선하되 입찰을 통해 재정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노선 통폐합에 따른 시민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출퇴근 등 특정시간대만 운행하는 새로운 유형의 버스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도 고려중이다.

감차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시는 현행 적정버스대수를 7000대 정도로 판단, 현행(7534대)보다 500여대를 줄일 계획이다. 현재 시는 버스회사에 직접 감차를 요구ㆍ명령할수 없지만 필요시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상 규정된 ‘사업계획변경명령’ 권한에 따라 감차를 강제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 버스임금협상때 감차부분은 합의사항에 넣지 않았다”면서 “경영여건이 어려워 정상 버스서비스 운영이 불가능할 경우 지자체에서 직접 감차를 명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외 각종 수익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에도 나선다. 시는 감차 부분을 새로운 수익사업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감차한 대수만큼을 수요가 많은 마을버스로 전환해 수익증대를 꾀하고 광고수입 증대를 위해 버스 옥외 가용면적 확대 및 옥내광고 최고가 입찰 등도 추진한다.

버스정류장을 직접 관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현재 버스정류장 관리권은 버스회사가 갖고 있는데 이를 시가 이관받게 되면 정류장내 광고수입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윤준병 서울시도시교통본부장은 “현행 준공영제에 대한 개선안과 함께 완전준공영제에 대한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다”면서 “용역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해 가장 효율적인 버스시스템 구축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