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6ㆍ25 때문에 61년만에 졸업한 ‘백발’ 고교생들
1945년, 개성 송도학교에 입학한 송도고 32회 200명…25일 졸업

평균 나이 81세로 상당수가 고인이 돼…졸업식에는 30명만 참석

학도병으로 전쟁 참가…성장 후 대한민국 근대화 주역으로 활약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OCI(010060)가 운영하는 인천 송도고(학교법인 송도학원)가 6ㆍ25전쟁으로 인해 졸업을 하지 못한 1950년 당시 6학년(당시 송도중)으로 재학 중이던 32회 학생들에게 61년만에 졸업장을 수여한다.

OCI에 따르면 송도고는 25일 인천 옥련동 교내 체육관에서 나근형 인천시교육감 등 교육 관계자, 김상열 OCI 부회장과 졸업생 30명, 재학생, 내외귀빈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2회 졸업식’을 가졌다.

이들 졸업생은 1945년 4월 입학한 뒤 6ㆍ25전쟁으로 인해 학교가 휴교를 하고 학교 소재지인 개성이 북한에 점령되면서 학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됐다. 이후 1952년 인천에서 재개교를 했으나, 학적이 모두 소실됐고 실향 및 이산의 아픔과 생활전선에 뛰어들 수 밖에 없어 졸업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학교와 동문들이 파악한 32회 졸업 대상 학생은 200명이나 평균 연령 81세의 고령으로 그 중 상당수가 고인이 돼, 30명만이 졸업식에 참석햇다. 이번 졸업생들은 6ㆍ25전쟁 당시 ‘학도병 1세대’로 참가해 국권 수호에 앞장섰고, 교육계의 지도자, 과학기술계, 예체능분야와 재계 등 다방면에서 우리나라 근대화에 큰 역할을 한 주역들이다.

민석원 정우개발 창업주, 한국 빙상계를 세계 정상으로 끌어올린 장명희 대한빙상연맹 명예회장, 우리나라 중화학공업 육성에 기여한 손평래 미국 듀크대 공학박사, 기독교방송 사장과 대한성서공회 이사 등을 지낸 이재은 목사, 모교 송도고에서 후배양성에 힘을 보태셨던 이태영ㆍ인재혁 교사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권영섭 송도고 교장은 회고사에서 “송도중 6학년 재학 중(현 고등학교 3학년) 6ㆍ25전쟁으로 인한 학업중단으로 졸업은 못했지만, 각 분야에서 국가와 사회를 위해 헌신해 왔으며 학교의 명예를 높이는데 많은 역할을 하신 32회 졸업생들에게 61년만에 졸업장을 수여할 수 있게 돼 모교 대표로서 뿐 아니라 인생의 후배로서도 큰 영광”이라고 말했다.

졸업생 허강 씨는 “많은 세월이 흘렀지만 이제라도 졸업장을 받으니 마음이 벅차다”며 “고인이 되거나 연락이 되지 않은 친구들이 많아 다 같이 이 자리에 참석하지 못한 게 너무 슬프고 안타깝다. 빨리 통일이 돼서 우리민족의 상처가 치유됐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송도고는 올해 개교 106주년을 맞이하는 전통 명문사학으로 1906년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좌옹 윤치호 선생이 현재 북한 지역인 개성에서 개교햇다. 하지만 6ㆍ25전쟁으로 개성이 북한에 점령되면서 더 이상 학교를 운영할 수 없게 되자, 1952년 후학 양성 및 송도중의 전통을 잇기 위해 많은 동창들과 교사들의 노력으로 경기ㆍ강화지역에 많이 거주하던 개성과 연백의 피난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천에 재개교를 하면서 인천시대가 열리게 됐다.

1960~1970년대, 피난학교로서의 면모를 벗어나 명문사학으로 거듭나기 위한 학교 재건설 과정에서 개성 출신 사업가인 동양화학(현 OCI) 고(故) 이회림 회장이 1975년 학교이사로 취임하면서 OCI와 인연을 맺게 됐다.

그동안 졸업생 총 2만5437명을 배출한 송도고는 경천애인(敬天愛人)의 건학정신과 봉사(奉仕)를 교훈으로 삼아 한세기를 넘는 명문사학으로서 우수인재 배출의 요람이 되어 왔다.

한편 송도고는 6월 28일에 2002년 6월 29일 발발한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72회 졸업생 고(故) 윤영하 소령에 대한 10주기 추모식을 가지며, 이 행사에는 박상은 국회의원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