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헤이 튀기” 서 이젠 “안녕 김씨”
6·25전후 태어나 냉대받던 혼혈인…그들의 삶과 희망
2000년대 초까지 억압·편견…자식 안낳으려 불임수술도

다문화지원센터 200개 확대…이젠 이방인 아닌 동반자로



과거 ‘혼혈아’라는 단어를 쓰며 다(多)문화에 대해 비아냥댔던 대한민국이 이제 다문화에 대한 포용력을 키우고 있다.

헤럴드경제는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통해 미래 대한민국 다문화사회의 밑그림을 그려봤다. 무엇보다 6ㆍ25 전후(戰後) 출생한 혼혈인들의 육성을 통해 과거의 차별, 그리고 현재의 변화, 미래의 희망을 들어봤다.

이명호 씨, 강필국 씨, 배기철 씨, 카리나 양


6ㆍ25 전후 출생한 혼혈인들은 과거 ‘다문화’라는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기 전 대한민국 사회에서 심각한 차별ㆍ억압을 받았다.

이런 분위기는 2000년대 초반까지도 그대로 이어져 왔다.

당연히 대한민국 주류사회에 포함되지 못한 채 이들 전후 세대 혼혈인들은 겉돌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필리핀 출신 이민자가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중국은 물론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등 다양한 민족이 대한민국 사회에 유입돼 다문화가 자연스럽게 형성됐다. 100만 외국인 시대다. 정부에서도 다문화사회에 대한 지원을 늘려나가고 있다.

다만 전후 세대 혼혈인들은 과거 대한민국을 보면 당혹스럽다고 말하면서도 앞으로의 대한민국을 보면 희망가를 부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나같이 생긴 자식 낳아 차별받게 하기 싫어 불임수술까지 했어요.”

배기철(55) 씨는 자신을 ‘57년생 부산 사람’이라고 소개했다. 다만 그는 백인계 혼혈이다. 아버지가 누구인지는 모른다. 그의 어머니는 이름 모를 미군에게 몹쓸 짓을 당했다. 그리고 배 씨가 태어났다. 집안에서 쫓겨난 배 씨, 그리고 배 씨의 어머니. 그의 인생은 시작부터 비극 그 자체였다.

“대부분의 1세대 혼혈인이 보육원 신세를 지거나 입양됐죠. 다행히 어머니는 나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배 씨는 우여곡절 끝에 고등학교까지 마칠 수 있었지만 취직의 문턱에서 혼혈이라는 차별의 장벽은 굳건했다.

“차별을 피해 떠났지만 어머니가 눈에 밟혀서 한국에 돌아올 수밖에 없었어요.”

1947년에 태어난 강필국(65ㆍ호프집 운영ㆍ단역배우) 씨는 유년기를 서울 영등포에서 보냈다. 친부는 미군으로 추정되나 누군지 알 길이 없다. 시댁에서 쫓겨난 친모는 그를 보육원에 버렸다. 동네 사람들은 모든 말썽과 원인으로 그를 지목했다. 남들과 다르게 생겼다는 이유만으로 모든 손가락질이 그에게 향했다.

“차별은 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더해갔고, 결국 고등학교 1학년 때 자퇴를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80년대엔 ‘미제 타도’를 외치는 대학생 데모대에게 맞아 치아 16개를 잃어버리기도 했죠.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랐기에 늘 한국인이라고 생각했지만 내 취업원서를 받아주는 회사는 없었죠.”

배 씨와 강 씨처럼 전후에 태어난 혼혈인들이 차별 속에서 유령 같은 삶을 살아왔지만, 최근에는 상황이 많이 변했다.

지난 90년대 이후 국내 거주 외국인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 최근에는 100만명 시대가 됐다.

당연히 ‘혼혈’이라는 차별적 단어보다 다문화라는 포용의 단어가 쓰이고 있다.

이들 혼혈인은 과거에는 차별이 있었지만, 앞으로는 포용을 통해 희망가를 부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서울 암사동에서 만난 이명호(58ㆍ퀵서비스) 씨는 “예전에는 사람 많은 길을 지나가면 여기저기서 ‘튀기’ ‘아이노코’라고 하면서 수군대는 소리가 들렸어요. 하지만 요즘에는 지나가면 쳐다보지도 않아요. 한국 사회가 많이 바뀌었어요”라고 말했다.

정부의 지원도 계속 늘고 있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200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확대 설치됐다. 부모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다문화아동(혼혈인)의 보육료도 전부 지원되고 있다. 정부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교과 학습지도 등을 위한 거점 학교 수도 3년 새 35개 학교를 늘려 전국에 80개에 이른다.

“친구들이 피부색이 다르다고 특별히 다르게 생각하지 않아요. 반 여자아이들이랑 다 친한데, 수연이랑 특히 친해요.”

한국인 아버지, 키르기스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카리나(12) 양의 말이다.


<박병국 기자>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