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업 76% “원하는 것은 점진적인 생산적 복지”
[헤럴드경제=김영상 기자]기업들이 바라는 복지정책 방향은 일자리 확충 등 지속성장을 가능케 하는 ‘생산적 복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국내 제조업체 109개사를 대상으로 ‘복지정책에 대한 기업의견’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76.1%는 바람직한 복지정책 방향을 묻는 질문에 ‘성장잠재력을 제고하는 생산적 복지여야 한다’고 답했다. ‘성장보다는 분배중심의 전반적 복지정책’이라고 답한 기업은 23.9%였다.

향후 복지 확대 시 실현가능한 재원 마련 정책으로는 ‘비과세 감면제도 정비, 불필요한 예산 절감, 세원탈루 방지 등 예산효율성 제고책’을 꼽은 기업이 67.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소득세, 법인세 등 세율인상’(11.0%), ‘타분야 지출예산 줄여 복지예산 확대’(11.0%), ‘국채발행, 해외자금 조달 등 적자재정 운용’(10.1%) 등을 거론했다.

기업들은 재정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복지지출을 할 경우 재정위기를 겪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과도한 복지지출 확대가 이루어질 경우 남유럽의 재정위기 같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기업이 56.9%였다. ‘아니다’란 답변은 14.7%였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경제성장과 복지가 조화롭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복지수혜자들이 경제활동 참여를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일자리 확대 등의 생산적 복지가 적합하다”며 “복지 재원 마련을 위해 기업관련 증세를 추진하는 것은 투자를 위축시켜 경제성장을 저해하고 일자리 창출도 어렵게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