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침체 늪에 빠진 저축은행… ‘누구나 대출’ 다시 활개?
저신용층에 브로커 통해 알선
20~30% 고금리 불법 대출
‘돌려막기’성행…부실 우려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저축은행권에서 속칭 ‘누구나 대출’이 성행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누구나 대출은 신용도가 낮아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릴 수 없는 고객에게 ‘고금리 소액신용대출’을 취급하는 것으로, 2000년대 초 저축은행, 캐피털 등 2금융권에서 유행하다 대거 부실을 낳은 바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장기 침체에 빠진 저축은행권이 새로운 영업활로로 누구나 대출을 취급하고 있다. 현재까지 누구나 대출 잔액은 5000억~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관련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문제는 누구나 대출 자체가 불법인데다 부실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누구나 대출은 저축은행이 불법 대출모집인(브로커)을 통해 소개받은 고객에게 20~30%대 고금리로 돈을 빌려주고, 브로커는 소개비 명목으로 거액의 수수료를 챙기는 식으로 이뤄진다. 브로커가 받는 수수료는 총 대출 잔액 대비 최소 6~8%에 달한다. 일부 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 금리가 대부업체 수준까지 높은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일부에선 불법 입수한 개인 정보를 통째로 매매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브로커에게 지급하는 비용을 빼면 저축은행권에서 10%대 신용대출 상품을 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누구나 대출을 통해 이전 대출금을 갚는 사례(대환 대출)가 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즉 A저축은행에서 누구나 대출을 받은 고객이 대출 만기일이 다가오자 B저축은행에서 또다시 누구나 대출을 일으켜 A저축은행의 대출금을 상환하는 식이다. 해당 고객의 신용도는 물론 저축은행의 재무건전성이 더 악화될 소지가 크다.

다른 관계자는 “누구나 대출을 취급한 저축은행들이 ‘폭탄 돌려막기’를 하고 있다”면서 “부실 사태가 재연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누구나 대출을 한 건이라도 취급한 저축은행이 적발되면 강력한 제재를 가할 방침이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