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권자 90% "복지공약 지켜지지 않을 것”
4ㆍ11일 총선에서 유권자의 표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이슈는 ‘물가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정당이 경쟁적으로 내놓은 복지 공약에 대해선 ‘총선 후 지켜지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90%를 넘었다.

8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4ㆍ11 총선과 경제공약에 대한 대국민 의식 조사’에 따르면 총선 공약 중 투표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에 대해 ‘경제’라고 응답한 유권자가 69.8%에 달했다. 정치ㆍ외교 분야는 18.9%, 사회ㆍ문화 분야는 11.3%에 그쳤다.

유권자들은 특히 경제 공약 중 표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이슈로 물가안정(37.2%)을 꼽았다. 이어 일자리창출(20.6%), 복지정책(15.4%), 경제성장(14.7%) 순으로 답했다.

물가안정에 대해선 전 연령층에서 비슷한 공감대(36.5~38.0%)를 보였다. 일자리창출 이슈는 50대 이상 장ㆍ노년층이 27.0%로 20대 유권자(25.0%)에 비해 더 높았다.

각 정당의 핵심 공약인 복지 정책과 관련, 유권자 10명 중 9명(91.0%)은 ‘선거 후 지켜지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복지 공약 확대를 위해 ‘세금을 더 낼 의향이 없다’는 유권자(54.1%)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 가운데 세금 인상이나 국채 발행 없이 재정 개혁 등으로 복지 공약 예산을 마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유권자는 26.5%에 불과했다.

다만 복지 정책 확대에 대해선 찬반 의견이 각각 53.0%, 47.0%로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연령층은 60%대의 높은 찬성률을 보였지만 50대 이상 유권자의 70%는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남북 경제협력에 대해선 개성공단 활성화,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유권자가 64.9%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유권자(35.1%)보다 훨씬 많았다.

최성근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고물가로 인한 서민 경제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재정건전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수준에서 복지 공약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달 26~30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전화설문을 통해 1007개 샘플을 수집, 조사했다. 최대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이다.



<최진성 기자/@gowithchoi>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