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檢날, 이젠 몸통으로 향하나
민간인 불법사찰 이영호·최종석 구속
재수사 20일만에 첫 성과
수사축소 금품전달 관여 의혹
박영준·임태희 등 조사 촉각
5000만원 출처가 핵심 변수

검찰이 민간인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 사건의 재수사에 착수한 지 20여일 만에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과 최종석 전 청와대 행정관을 구속하는 첫 성과를 냈다.

이제 검찰은 류충렬 전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 진경락 전 공직윤리지원관실 지원총괄과장에 대한 직접 소환 등 후속 수사에 서둘러 착수할 전망이다. 이들이 실무급과 윗선급을 연결하는 핵심고리이기 때문이다.

검찰의 최종 타깃은 이들을 거쳐 배후에 존재하고 있을 윗선이다. 소위 ‘영포라인’이란 비선라인으로 연결돼 있는 박영준 전 총리실 국무차장, 불법사찰 사건이 불거져 은폐가 진행된 2010년 청와대의 양대 축을 이룬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과 권재진 전 민정수석 등이 현재까지 윗선으로 의심되고 있는 인물이다. 이들은 수사를 축소하거나 폭로를 막기 위해 금품을 전달하는 데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드러난 수사상황을 종합하면 ‘지시라인’과 ‘돈흐름’은 거의 일치한다. 장진수 전 주무관은 최 전 행정관의 지시로 2010년 7월 검찰의 압수수색을 앞두고 공직윤리지원관실 점검1팀의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파기했다고 폭로했다. 이 전 비서관은 스스로 자신이 증거인멸의 ‘몸통’이라고 밝혔다. 비록 불법적인 자료 은폐가 아니라 ‘국정 혼란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는 설명을 덧붙였지만 증거인멸 교사 혐의 등으로 법원이 구속영장을 내주면서 궁지에 몰렸다.

이들의 이름은 장 전 주무관이 받은 현금과 함께 다시 등장한다. 이 전 비서관은 지난해 8월 장 전 주무관에게 2000만원을 줬다고 밝혔다. 최 전 행정관도 2010년 8월 이동걸 고용노동부 장관 정책보좌관을 통해 장 전 주무관에게 4000만원을 건네고 이 가운데 1500만원을 변호사 성공보수 명목으로 지급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류 전 관리관이 지난해 4월 장 전 주무관에게 전달했다는 5000만원은 조금 다르다. 장 전 주무관은 장석명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을 돈의 출처로 꼽았다. 장 비서관은 장 전 주무관에게 돈을 전달할 아무런 이유도, 인연도 없는 인물이다. 장 비서관조차 기자회견을 통해 “만난 적도, 통화한 적도 없다”며 5000만원 의혹을 부인했다. 다만 류 전 관리관을 통해 “장 전 주무관의 딱한 처지를 듣고 일자리를 알아봐 줬다”고 말했다. 류 전 관리관은 5000만원이 “총리실 직원이 십시일반으로 마련한 돈”이라고 설명했다.

종합하면 세 차례에 걸쳐 장 전 주무관에게 건네진 8500만원이 모두 ‘선의’ 때문이다. 그러나 돈이 흘러간 시기와 여전히 불분명한 출처를 따져볼 때 선의를 곧이곧대로 믿기는 힘들다. 장 전 주무관은 지난해 1월 중앙징계위원회에 출석해 증거인멸이 최 전 행정관의 지시 때문이라고 밝혔다. 입을 열고 있는 장 전 주무관을 회유할 필요가 있는 셈이다. 특히 5000만원이 건네진 지난해 4월은 장 전 주무관이 항소심에서 공무원 임용이 불가능한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때다.

십시일반 모았다는 5000만원 자체도 의문이다. 돈을 냈다는 사람은 열 명은커녕 아직 한 명도 나오지 않고 있다. 또한 최근 장 전 주무관이 검찰에서 5000만원을 관봉(官封ㆍ신권 100장 다발을 압축포장한 것) 형태로 받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여럿이 모은 돈이 아닐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관봉이 시중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이 돈이 청와대에서 흘러나온 뭉칫돈이 아니냐는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앞서 장 전 주무관은 “증거인멸 지시 사실이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됐다고 들었다”고 밝혔다.

최근엔 점검1팀에서 일한 김기현 경정의 USB에서 ‘BH(청와대) 하명’이라고 적힌 문건이 발견됐고, ‘BH, 국정원, 기무사도 함께함’이라 적힌 원충연 씨의 수첩도 공개됐다.

검찰은 류 전 관리관을 상대로 돈이 건네진 경위와 출처를 조사하는 한편 관봉에 적힌 일련번호 등을 통해 유통경로를 추적하고 있다. 관련자가 하나같이 입을 다물고 있는 상황에서 5000만원의 출처가 확인되면 검찰 수사는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김우영 기자/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