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자본재 수출집중 탈피…유통·서비스 中공략 강화를
中성장률 7.5% 시대…한국 對中수출 전략 수정 불가피
중국이 2004년부터 지속해온 ‘뜨거운 성장’ 대신 완만한 질적 성장에 나설 것으로 보이면서, 우리도 중간재 편향에서 탈피해 수출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우리의 대중(對中)경제 전략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중국은 5일 전인대를 통해 성장의 동력을 투자에서 소비로 전환하고, 대내외 불균형을 해소해 질적성장의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두자릿수에 육박하는 물가상승률이나 지방을 중심으로 한 부실의 문제도 심화되면서, 내부적인 체질 개선 요구도 높다.

더 이상 세계의 공장 노릇만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해 중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도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 8394달러나 된다. ppp 7000달러면 본격적으로 성장이 둔화된다. 한국(1989년)과 일본(1969년)도 그랬다.

반면 우리 경제의 중국 의존도는 몇 년 새 더 높아졌다. 지난해 전체 수출의 중국 비중은 25%나 된다. 미국과 유럽, 일본에의 수출을 합한 28%에 육박한다. 때문에 이번 중국의 변화를 계기로 우리의 전략에도 미세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중수출은 대부분 자본재와 중간재다. 원료나 부품, 중간가공물을 수출하면, 중국이 이를 완제품화해 유럽이나 미국에 수출하는 형태다.

전문가들은 무역의 품목을 늘려 10%대(2010년 기준)에 불과한 소비재의 수출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제조업 위주의 투자 항목을 유망 서비스 업종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국 정부가 육성하겠다고 구체적으로 밝힌 양로, 가사, 부동산, 의료 보건 등의 서비스 분야와 문화, 여행, 헬스케어 등의 소비재 분야에서 보다 적극적인 시장공략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중국정부가 육성할 내수시장의 핵심 역할을 할 유통시장 진출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지역별 산업특화정책에 맞춰 자동차부품이나 타이어, 게임, 제과 등 다양한 분야의 진출도 이뤄져야 한다.

추진을 타진 중인 한ㆍ중 자유무역협정(FTA)도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비관세 장벽이 큰 중국 시장의 특성상 FTA의 효과가 더 커질 수 있다는 평가다.

우리 정부도 이러한 부분을 감안, 7일 열리는 ‘위기관리 대책회의’에서 전인대 이후의 중국 정책 방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수출 실무부서인 지식경제부 역시 중국에 대한 전략을 보강하고 있다.

지경부 관계자는 “아랍, 동남아 등 새로운 수출시장에 대한 지원 강화하는 동시에, 우리 기업들이 중국을 생산기지화하기보다는 거대한 내수시장에 초점을 두는 쪽으로 변신하도록 방향 설정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정식ㆍ홍승완 기자/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