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미래 식량자원 확보위해…생명공학작물 개발 필요”
김태산 크롭라이프대표 강조
전 세계 식량난 해결과 식량자원 확보를 위해 국내에도 생명공학작물의 적극적인 재배와 유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태산 크롭라이프코리아 대표는 최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전 세계 식량문제를 해결할 생명공학작물에 대한 인식제고와 규제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생명공학작물은 생명공학기술을 이용, 유전자조합이나 세포변형을 통해 만들어진 새로운 기능을 가진 것으로, 특정 기능을 가진 유전자를 다른 작물에 삽입하고 유전자를 재조합해 만든다.

이 기술을 통해 해충에 강한 옥수수를 만들기도 하고, 제초제에 강한 콩을 만들기도 하며, 비타민이 풍부한 황금쌀을 만들기도 한다. 생명공학작물은 작물 재배면적을 크게 줄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일본 등 다른 나라에 비해 생명공학작물 재배에 제한이 많다. 선진국에 비하면 기술수준 역시 뒤떨어진다.

김 대표는 우리나라 생명공학작물 산업 육성의 가장 큰 걸림돌로 기술과 규제, 인식의 문제를 꼽는다.

그는 “우리나라는 보유하고 있는 고유 유전자가 없고 원천기술도 부족하다”며 “한 개 작물에도 70~80개 특허가 존재하는데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하려면 라이선스 비용 역시 넘어야 할 큰 산”이라고 덧붙였다.

생명공학작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기술이 부족한 것도 문제다. 식품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술이 부족한 점은 작물 도입의 걸림돌이 된다.

김 대표는 “우리나라 개발기술 수준은 그나마 많이 따라와 선진국의 80% 정도지만 안전성 검증기술은 50%도 채 안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다른 나라에 비해 엄격한 규제도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김 대표는 “일본은 생명공학작물 도입 시 후생성 등 3개 기관의 심사를 받지만, 우리나라는 환경부 식약청 농림부 등 5개 기관의 심사를 받는다”며 “도입기준도 까다로워 국제규정에 실험용, 식품ㆍ사료용, 재배용 등으로 구분된 규정을 무엇을 재배하든 가장 엄격한 재배용으로만 기준을 둬 판단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직 생명공학작물이 각종 규제와 인식으로 시장성이 떨어지지만 각종 문제가 해결된다면 정부 주도의 개발이 아닌 외국처럼 민간기업 차원의 산업적 이용도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문영규 기자/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