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공업생산 전년비 2.0%↓ …31개월만에 뒷걸음질
지난달 광공업생산이 전년 동월 대비 31개월 만에 뒷걸음질 쳤다. 수출은 예상보다 크게 둔화됐고 활성화를 기대했던 내수마져 오히려 후퇴했기 때문이다. 산업현장에서 온기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광공업생산은 지난해 1월에 비해 2.0% 감소했다. 경제의 중심역할을 하는 광공업 생산이 전년동월비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09년 6월(-0.6%)이후 31개월 만이다.

글로벌 경기 둔화가 제조업체들의 생산과 출하, 투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도체 및 부품(8.3%), 석유정제(6.2%) 등의 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했지만 그동안 경기 반등을 주도했던 자동차(-6.9%), 영상음향통신(-11.2%) 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다만 전월 대비로는 3.3%가 늘었지만 지난해 10월이후의 3개월 연속하락세에대한 기저효과로 판단된다. 경기개선이나 추세전환으로 보기는 어렵다.

전반적인 지표는 여전히 회색빛이다. 출하를 보면 내수분야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5% 줄고 수출분야는 0.3% 증가에 그쳤다. 재고도 지난달 보다는 2.7% 줄었으나 작년 1월에 비하면 20.9% 늘었다. 제조업 재고율은 108.2%로 전월보다 6.7%포인트 떨어졌다. 기업들이 재고를 감당하지 못해 재고 조정에 들어갔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제조업 가동률은 전월보다 3.6% 증가한 80.6%를 기록했지만, 기준치인 80%를 턱걸이 하는 수준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8.8%나 줄었다.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16.1%, 작년 1월보다 7.8% 늘면서 수치상으로는 그나마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반도체와 기계분야 등에서 성수기인 3분기를 노린 투자라 지속될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평가다.

수년째 부진한 건설기성은 건축과 토목공사 실적 저조로 전월보다 12.6%, 작년 1월보다 6.4% 각각 감소하면서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한편,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비 0.1p 하락했다. 앞으로의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3포인트 올라 두 달째 상승했다.

통계청은 이날 선행지수와 동행지수의 구성항목을 각각 9개와 7개로 1개씩 줄이고 지표 구성을 바꾼 경기종합지수 개편을 단행했다.

홍승완 기자/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