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재권력-미래권력 설 끝난 후 대충돌?
‘현재 권력’ 이명박 대통령과 ‘미래 권력’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간 대충돌은 벌어질까. 설연휴를 지내면서 냉각기를 가지면서 12월 대통령 선거전까지 오랜 잠복기간을 가질지, 아니면 연휴가 끝난 후 한나라당내 공천 물갈이와 맞물려 증폭될지 주목된다.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인 친이계와 비대위간에는 이미 여러차례 ‘잽’을 주고 받은 상태로, 이제는 서로 ‘피니시 블로우’를 누가 먼저 날리느냐만 남아 있는 모습이다.

비대위의 좌장격인 김종인 비대위원이 잇따라 ‘이명박 대통령 탈당’을 언급해 빚어진 당내 갈등은 박 위원장이 나서 수습하는 모양을 보이고 있다. 정책과 민생으로 국민에게 다가가겠다고 수차례 밝힌 박 위원장 입장에서 당내 갈등이 증폭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않다는 판단이다.

이 대통령에 대한 탈당 요구와 관련, “논의된 적이 없으며, 차별화를 위한 차별화를 할 생각은 없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상돈 비대위원도 “대통령 탈당 여부는 그렇게 큰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며 “현 상태에서 탈당문제를 거론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고 이 대통령의 탈당요구가 비대위의 통일된 입장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 비대위원은 더 나아가 “탈당하든 안하시는 간에 그것은 (이 대통령) 그분의 결정이고 우리가 일하는 데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다”며 사실상 대통령 탈당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피력했다.

친박계 역시 분란을 막기 위해 가세하고 있다. 유승민 의원은 “이 대통령의 탈당 문제를 거론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당이 깨지는 빌미를 박 비대위원장이나 비대위가 제공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정부와 분명한 차별화를 하지 않고는 총선에서 승리하기 어렵다는게 비대위의 공통된 인식인데다, 쇄신파 등 당장 당선이 지상과제인 현역 의원들 역시 이 대통령의 탈당 요구를 계속 할 것으로 보인다. 박 위원장과 친박계의 확전 자제 노력이 역부족이 될 공산이 크다.

더군다나 한나라당 앞에는 ‘전당대회 돈봉투’ 파문, 다이아몬드 광산개발권과 관련된 CNK인터내셔널의 주가조작 의혹, 대통령 측근과 친인척 비리의혹 등 총선을 앞두고 악재가 즐비하다.

친이계측도 대통령 탈당 압박이 더욱 가열차게 제기될 것으로 보고, 선을 긋고 있다. 친이계 핵심인 이재오 의원이 “대통령을 탈당시켜야 이득을 본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당을 나가면 된다”는 발언은 최악의 경우에 분당 가능성까지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손미정 기자 @monacca>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