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청년 일자리 7만개…물가 3%대 초반 유지…안정적 국정 마무리 의지
국정 양대화두 ‘서민생활 안정’
이명박 대통령은 올해 신년 국정연설에서도 경제 분야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특히 서민생활 안정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총선과 대선을 앞둔 올해 민생 안정 없이는 안정적인 국정 마무리는 물론 정권 재창출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이 대통령은 “세계경제는 일시적 불황이아니라 새로운 저성장 시대로 접어들었다” 면서 “서민생활 안정 특히 일자리를 만들고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혼신의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에는 물가가 많이 올랐고 전세, 월세가 많이 올라서 서민들의 고통이 컸다” 면서 “올해는 어떤 일이 있어도 물가를 3%대 초반에서 잡겠다. 성장도 중요하지만 물가에 역점을 두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임대주택 공급을 늘리고 특히 대학생용 임대주택 1만호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어 “일자리를 만드는 데도 최선을 다하겠다. 정부는 금년 예산을 ‘일자리 예산’으로 짜고, 10조원이 넘는 돈을 일자리 확충에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청년 일자리에 대해 “청년실업은 당사자는 물론 가족 모두의 고통으로, 최우선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국정과제” 라며 “작년에 이어 올해도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7만개 이상 만들겠다. 공공부문 신규 채용도 1만4000명으로 늘리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자리를 바라보는 시각도 바꿔 ‘학력’이 아닌 ‘능력’으로 평가받는 ‘열린 고용사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저출산ㆍ고령화’ 문제와 사회 소외계층을 위한 ‘지속가능한 복지’ 에도 방점을 뒀다.

이 대통령은 “출산율 제고를 국가 핵심 과제로 삼고 제가 직접 챙기겠다” 면서 “부모들의 실질적인 양육 부담을 덜기 위해 태어나서부터 다섯 살까지 어린이에 대한 보육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재정 건전성을 지키면서도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복지를 펼치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정부는 지방자치단체, 지역 주민들과 함께 현장을 발로 뛰며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찾아내 돕겠다“면서 ”복지 서비스도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전달체계도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토록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 폭력에 대해 “보다 전문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한 실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면서 “정부 여러 부처와 각계전문가들이 함께 지혜를 모아 따돌림과 폭력의 위험이 없는 학교를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춘병 기자/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