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문·수감…그의 삶은 곧 민주화의 역사
김근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향년 64세로 타계
수년째 앓던 파킨슨병에

뇌정맥혈전증 등 겹쳐

급격한 병세 악화에도

反보수 대연합 헌신

‘민주화의 대부’ 김근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지난달 30일 오전 5시31분 타계했다. 향년 64세. 김 고문은 수년째 파킨슨병을 앓아온 데 이어 뇌정맥혈전증, 폐렴, 신장염 등 2차 합병증이 겹치면서 패혈증으로 한 달 만에 숨을 거뒀다.

젊은 시절 수배생활과 투옥을 반복한 김 고문은 민주화와 정치개혁에 앞장서며 정치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하지만 자기희생적 삶에도 불구하고 그는 영원한 비주류였다.

1965년 대학 입학 후부터 반독재 민주화운동에 투신한 그는 1967년 서울대 상대 학생회장 때 총·대선 부정선거 항의집회를 하다 제적당해 군대에 강제징집됐다. 1970년 복학했지만 이듬해 ‘서울대생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돼 지명수배됐다. 이때부터 1979년 10·26 사태 때까지 도피생활을 하면서 ‘공소의 김근태’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김 고문은 1983년 첫 공개적 민주화운동 조직인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을 결성, 1985년 투옥될 때까지 두 차례 의장을 맡았다. 군사정권 시절인 1985년 남영동 대공분실에 끌려가 ‘고문기술자’ 이근안 경감 등에게 10차례의 전기고문과 물고문을 받는 등 “스스로 죽고 싶었다”고 회고할 정도로 혹독한 고초를 겪었다. 김 고문은 1989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활동을 하다 1992년까지 영어의 몸이 돼야 했다.

제도권 정치로 눈을 돌린 김 고문은 1994년 민주자유당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을 결집하는 민주연합정당을 만들기 위해 출범한 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의 공동대표를 맡는다.

이듬해에는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손잡고 본격적인 정당생활을 시작한다. 15대 총선(1995년)에서 서울 도봉갑에서 당선된 그는 2004년 17대까지 내리 3선 배지를 달았다. 그러나 동계동계 등 구여권에 밀려 비주류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2002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때는 불법 정치자금에 대해 양심고백을 하고 중도에 경선 중단을 선언했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재야 및 486운동권 출신 의원들을 중심으로 ‘GT계’라는 세력을 형성하고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입각 경험까지 쌓으며 정동영 의원과 차기 대권주자 경합을 벌였다. 

도피 그리고 고문, 또 고문…수감. 그렇게 그는 고통의 젊은 시절을 보내야 했다. 30일 새벽 타계한 김근태 민주당 상임고문의 길지 않은 인생은 그랬다. 지난 1985년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보름 동안 고문을 받으며 “죽고 싶다”고 말했지만, 사랑하는 조국의 민주화를 위해 그렇게 쓰러질 수 없었다. 이랬던 그가 고문 후유증으로 고통을 받다, 2011년 한 해의 마무리를 하루 앞둔 30일 새벽 눈을 감았다.                                            이상섭 기자/babtong@heraldcorp.com


정치인생의 전기를 맞는 듯했지만 그는 2007년 열린우리당 후신인 대통합민주신당의 대선 경선 때 또다시 기득권을 버렸다. 범여권 대통합과 오픈 프라이머리(국민경선) 실현이라는 대의를 위해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낙선의 쓴맛을 봐야 했다.

김 고문은 건강이 급속도록 악화하는 가운데서도 진보정당과 시민사회 등 모든 세력이 참여하는 ‘반(反)보수 대연합’에 헌신해왔다.

민주통합당은 “김 고문은 민주화의 산증인이었다. 그 자체로 민주화의 역사였다”며 추모했다.

유족은 로버트 케네디 인권상을 공동수상한 부인 인재근 씨와 1남1녀(병준ㆍ병민씨).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 발인은 3일 오전.

양대근 기자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