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국에서 가장 비싼 상가는 어디?
전국 최고가 상가는 서울 청평화시장으로 ㎡당 기준시가가 1509만9000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강남의 주거용 호화 오피스텔인 피엔폴루스는 전세가 급등의 영향으로 ㎡당 기준시가가 499만1000원으로 33.3%나 급등했다.

국세청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되는 상업용 건물과 오피스텔 기준시가를 28일 고시했다. 기준시가는 양도소득세, 상속·증여세 계산 때 활용된다.

기준시가는 오피스텔이 7.45%, 상업용 건물이 0.5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피스텔의 기준시가 상승률은 2008년(8.3%) 이후 최고다. 상가 기준시가는 2009년부터 떨어지다가 4년 만에 상승세를 회복했다.

국세청 관계자는 “오피스텔은 올해 전세가 상승과 수익형 부동산 수요 증가로 기준시가가 올라갔다. 상업용 건물은 경춘선 개통 등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과 지방부동산을 중심으로 값이 뛰었다”고 설명했다.

서울 중구 신당동 청평화시장은 상권 회복으로 전년 대비 12% 뛰어 기존 3위에서 전국 최고가 상가로 올라섰다. 1,2위였던 종로6가 동대문종합상가 D동(1421만5000원)과 신당동 신평화패션타운(1395만3000원)은 기준시가 변동이 없어 한 계단씩 내려앉았다.

오피스텔은 호화 주거용이 몰려 있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이 약진했다. 초대형 오피스텔 건물인 피엔폴루스는 8위(374만3000원)에서 단숨에 ‘최고가 오피스텔’로 올라섰다.

인근의 상자리츠빌카일룸3차(451만1000원), 네이처 포엠(435만6000원)도 기준시가가 5.26%, 24.13% 각각 올라 2위(전년 3위), 3위(9위)를 기록했다. 1위였던 경기 성남 분당의 타임브릿지(434만8000원)는 분당지역 부동산가격 침체의 영향으로 4위로 물러났다.

지역별로 보면 오피스텔은 부산(10.76%), 경기(8.25%), 서울(7.64%), 울산(6.02%), 대전(5.37%), 인천(0.9%), 광주(0.52%) 등이 모두 올랐다. 대구만 0.48% 하락했다. 상업용 건물의 기준시가는 부산(4.2%), 대구(3.7%), 울산(2.74%), 서울(1.73%),인천(0.06%) 지역이 상승했으나, 대전(-1.74%)과 경기(-1.02%) 지역은 떨어졌다.

부산은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상승률이 모두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