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너와 나 사이 1km가 있다
한때 최연소 코스닥 CEO로 명성…이젠‘1km 사장님’으로…입소문만으로 100만 회원수 돌파…어플 1km로 인기돌풍
당장 달려갈 수 있는 거리, 1km

스마트폰 사용자 검색 기능

즉석 만남 등 소통 창구로


1km로 만나 결혼까지 골인

기부금 모아 해외자원봉사 등

SNS유해성 논란 속 순기능도


트위터·페북은 넓고 얕은 느낌

기혼자·장년층 모두 참여

일상의 소소한 기쁨 나누는

인간미 넘치는 앱으로 키우고파



2002년 최연소 코스닥 CEO로 이름을 알린 정주형(39) 이모션 대표는 최근 ‘1㎞ 사장님’이라는 호칭이 더 익숙하다. 

정 대표와 신입사원 4명이 만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1㎞’가 입소문을 타면서 꾸준히 사용자 수를 늘려가고 있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는 사용자 수 100만명을 돌파해 신바람이 났다.

‘1㎞’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갈 수 있는 거리를 뜻한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1㎞ 앱을 통해 가까운 곳에 있는 이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모임을 가질 수 있다.

정 대표에게 ‘1㎞’는 그 어떤 사업보다 각별하다.

다른 기업의 웹사이트를 만들어주다 처음으로 자신의 아이디어와 콘텐츠로 수익과 관계없이 결과물을 낸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1㎞ 사용자 사이에 오가는 소소하지만 감동적인 이야기들은 정 대표의 손을 놀 수 없게 만든다.

▶ “누구나 소통하려는 욕구가 있죠”=“사람을 만난다는 건 결국 우연이죠. 길에서 만나든, 직장에서 만나든 어차피 다 우연이 아닐까요. 어디서 만나는지가 아니라 만남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죠.”

누구에게나 소통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다만 이야기를 나눌 공간이 마땅치 않을 뿐이다. 정 대표도 하루 줄잡아 수십명을 만나지만, 정작 제대로 대화할 기회는 많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도 있지만 ‘넓고 얕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한국인에게 ‘친구’는 언제든 만날 수 있고 어려울 때 달려올 수 있는 존재인데, 지구 반대편에 있는 트위터 친구가 그럴 수는 없는 일이다.

정 대표는 1㎞를 통해 소통에 대한 욕구를 시험해보고 싶었다. 또 다른 소셜에는 없는 끈끈한 정과 같은 한국적인 정서를 담고자 했다.

광고비는 일절 쓰지 않았다. 광고나 언론 보도 등 인위적인 동력을 배제하고 얼마나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스마트폰 사용자 사이에서 입소문만으로 회원 수 100만명을 기록했다. 중복 방문자를 제외한 순방문자 수(Unique Visitor)만 하루 10만명에 이른다. 앱을 받은 10명 중 1명은 매일 1㎞를 이용한다는 얘기다.

▶흔한 데이팅 앱이라고요? NO!=국내에서만 1㎞가 인기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한인들끼리 모여살지만 직접 교류할 기회가 많지 않은 해외 교민들에게 1㎞는 고마운 존재다.

필리핀에 산다는 한 사용자는 “알고 보니 필리핀에서도 1㎞를 하더군요. 필리핀뿐 아니라 약 2500㎞ 떨어져 있는 고국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어서 정말 좋네요”라고 사용 후기를 남겼다. 

물론 1㎞에는 남녀의 만남도 있다. 정 대표도 사용자들로부터 교제나 결혼 소식이 들려오면 흐뭇하다.

얼마 전에는 한 여성 회원이 자신의 프로필을 통해 “1㎞에서 만나 우리 결혼합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외에도 1㎞에는 특별한 사연들이 많다.

한 회원은 1㎞를 통해 기부금을 모아 어려운 국가에 보냈다. 최근에는 모금 참여자들과 함께 해외 봉사를 나간다는 소식도 전해왔다. 

또 언어 장애가 있는 회원은 1㎞를 통해 낯선 사람들과 허물없이 이야기를 나누게 됐고, 하반신 장애가 있는 한 회원은 사용자들의 추천으로 ‘파퓰러(앱 내 인기인 소개공간)’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배너광고 하나 없는 앱?=1㎞를 둘러보면 특별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 흔한 배너광고 하나 없다는 것이다.

사용자들이 정 대표에게 “기둥 하나 뽑으신 거 아니냐”고 걱정 섞인 우스갯소리를 할 정도다.

물론 대학생 때 벤처기업을 만들어 16년이나 사업해온 정 대표가 수익모델을 고민하지 않았을 리 없다.

이에 대해 정 대표는 “수익모델에 대한 아이디어는 많지만, 그보다 중요한 건 사용자와의 관계, 사용문화가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100만명 이상이 되고 의도했던 대로 사용 콘셉트가 잡히면 그때 수익모델을 생각해보자고 미뤄왔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공ㆍ사기업의 웹사이트를 만들어 벌어들인 회사 수익으로 지난 1년간 1㎞ 앱에 들어가는 인건비와 서버 비용 등을 충당해왔다.

그러다 보니 본의 아니게 ‘주경야경(晝耕夜耕)’형 CEO가 됐다. 낮에는 회사 업무를 보고 밤에는 1㎞를 관리하느라 새벽에 잠들곤 한다.

▶ “소셜에서 좋은 모습 끌어내는 게 우리 일”=최근 데이팅 앱을 비롯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유해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한 정 대표의 대답은 간단했다. 

“지구에 범죄가 많이 일어난다고 지구를 버릴 수는 없잖아요.”

물론 정 대표와 1㎞ 팀도 사용문화에 난감함을 느낄 때가 있다. 타인에 대한 배려 없이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표출하는 이들을 볼 때면 ‘인간은 진화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정 대표의 생각은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이라면 어디든 좋은 모습과 나쁜 모습이 공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긍정적인 모습들이 더 많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1㎞ 팀의 역할이라고 생각했다.

철저하게 관리하다 보니 앱 분위기도 정화돼갔다.

요즘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이나 모바일 메신저에서 나누는 대화를 보면 욕설이 반이다. 1㎞에서는 인신공격과 욕설, 성적인 언어 등을 사용할 시에 제재가 가해진다.  

1㎞ 팀의 노력은 사용자들의 남녀 비율이 말해준다.

일반적인 데이팅 앱에서 남녀 사용자 비율을 보면 10명 중 9명이 남성이다. 여성들에게 데이팅 앱은 여전히 불편한 공간이라는 얘기다.

1㎞는 정 대표와 직원들의 노력으로 여성 사용자 비중을 30% 가까이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 “아직 10%도 안 보여드렸죠”=정 대표는 얼마 전 아이폰을 업데이트하면서 저장해둔 메모를 고스란히 날렸다. 날려버린 메모에 담긴 아이디어만 100가지가 넘는다. 그만큼 평소 1㎞에 대해 생각하는 바가 많다. 

“아직 10%도 안 보여드린 겁니다. 나머지 90%를 이제 준비해야죠. 한글 버전인데도 140개국에서 쓰고 있습니다. 이제 언어별로도 만들고, 지역별 문화도 만들어 가야겠죠.”

정 대표에게 지금 다른 앱을 만드는 일은 생각할 수 없다. 당분간은 1㎞를 키우고 가꾸는 일에만 매진할 생각이다. 

정 대표가 생각하는 1㎞는 흔한 데이팅 앱이 아니다.

기혼자, 장년층 가릴 것 없이 어울릴 수 있는 소셜 앱을 만들고 싶다. 그는 팍팍한 일상에 작은 기쁨을 줄 일들이 1㎞ 안에서 일어날 수 있다고 믿는다. 

이혜미 기자/ ham@heraldcorp.com
사진=이상섭 기자/ babt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