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내년 성장률 3.6%”…글로벌IB 잇단 하향조정
세계 주요 투자은행(IB)들이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계속 떨어뜨리고 있다.

유럽 재정위기 심화와 미국 등 선진국 경기둔화의 악영향이 크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10개 외국계 투자은행이 제시한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11월 말 현재 평균 3.6%로, 지난 1월의 4.5%보다 0.9%포인트나 떨어졌다.

이들 IB는 올 들어 5차례에 걸쳐 내년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고쳤다.

특히 8∼11월에는 매달 전망치를 내렸다. 올해 초 한국 경제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5.9%로 제시했던 BOA메릴린치는 지난달에 무려 2.3%포인트나 하향조정해 3.6%로 제시했다.

UBS는 올해 초 3.8%에서 2.8%로 1%포인트 낮췄다. 지난 10월에 4%대 전망을 유지했던 JP모건은 지난달 3.8%로 변경했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내년에 정부의 도움으로 건설 부문 투자가 늘더라도 기업 설비투자, 국내 소비가 약화해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씨티그룹과 바클레이즈캐피털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 수출 모멘텀 약화가 뚜렷해지고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증가율도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둔화해 내년 상반기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반해 노무라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이 3.5%에 그치겠지만 내년에는 5.0%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노무라는 보고서에서 “완만한 세계 수요 회복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내년 4월 총선과 11월 대선을 앞두고 상당한 규모의 경기부양책이 나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모건스탠리는 “내년 선거기간에 한국 정부가 복지 지출을 늘리고 인프라 건설을 확대할 것”이라며 “3분기에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출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창훈 기자/chuns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