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회바로세우기모임’…한나라, 이러지도 저러지도
“개인 소신위해 국익 훼손”

조기강행처리 무산 책임론속

정치선진화 취지엔 “…”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자 당내에서 “강행처리 반대서명”에 동참했던 국회바로세우기모임 의원 22인을 향한 시선이 곱지 않다. 비준안을 조기에 강행처리해야 하는데, 이들 ‘22인의 결사대’ 때문에 사태의 장기화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22인 중 한 명인 김세연 의원은 4일 “당 내에서는 국회바로세우기모임에 서명한 의원 때문에 처리를 조기에 할 수 있던 것을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며 곤혹스러워했다.

하지만 이들 의원들은 정치선진화를 열망하는 국민들의 열망에 부응, 끝까지 몸싸움은 피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국회바로세우기모임 의원 22명은 지난해 12월 예산안 강행처리에 대해 자성하며 “의원직을 걸고 국회에서의 모든 강행처리에 동참하지 않겠다”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 3일 국회파행이 계속되고 있는데도 불구, 이들은 의원총회에 앞서 강행처리 반대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한나라당 소속 의원 22명으로 결성된‘ 국회바로세우기모임’이 작년 12월 16일 기자회견에서 “의원직을 걸고 물리력에 의한 의사 진행에 동참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국회바로세우기모임 한나라당 멤버는 황우여 남경필 이한구 권영세 정병국 신상진 임해규 진영 구상찬 권영진 김선동 김성식 김성태 김세연 김장수 성윤환 윤석용 정태근 주광덕 현기환 홍정욱 황영철 의원.                                                                                                                       [헤럴드경제 DB]


이른바 ‘성명파’로 불리는 이 중에는 황우여 원내대표와 남경필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위원장도 포함된다. 황 원내대표는 그동안 한ㆍ미 FTA 여야 합의를 위해 꾸준히 야권과의 대화를 시도하며 최대한 강행처리는 피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해왔다. 남 위원장은 “강행처리 경우에는 내년 총선에 불출마하겠다”며 의원직까지 건 상태다. 이들 22인의 행보는 한나라당이 비준안을 통과시키기 위한 핵심 변수다.

한나라당은 야당이 계속해서 물리적 저지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을 심각하게 고려하는 분위기다. 만약 직권상정으로 한나라당이 표결을 강행할 경우 22인 전원이 표결에 임하지 않으면 법안 통과가 쉽지 않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박근혜 전 대표의 비준안 처리 지지 발언으로 미래희망연대의 8석을 확보, 비준안 통과 숫자는 된다”고 말했다.

손미정 기자/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