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내년 대도시 집값 ‘반토막’ 된다”
중국 대도시들의 집값이 내년 40% 가량 폭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31일 중국 인터넷 매체인 제노망(濟魯網)에 따르면 정부의 부동산 가격 억제 정책이 지속되는 가운데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 난징(南京), 항저우(杭州) 등에서 주택 매물이 늘어나고 있어 내년 대도시의 집값이 40% 가량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상하이는 10월들어 자딩(嘉定)구의 룽후리청 단지의 아파트가 당초 분양가보다 30% 할인된 가격에 재분양되는 등 상당수 아파트 단지들의 가격할인율이 30% 안팎에 이르고 있다. 이런 가격 할인 아파트들은 베이징 등 대도시들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처음 아파트를 분양받았던 입주자들의 불만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실제 상하이 룽후리청 단지가 가격을 내린 지난달 25일에는 초기 아파트 분양자 200여명이 모델하우스로 몰려들어 가격 인하로 인한 자신들의 피해를 보상하라며 난동을 부리기도 했다.

제노망은 현재 주택 가격 인하로 인해 베이징의 경우 3분기에 주택 환불 요청이작년 동기보다 40% 급증했으며 난징과 닝보(寧波), 항저우 등에서도 주택 환불 바람이 불고있다고 전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중국에서 주택 환불 바람은 주택시장의 거품을 제거할 것”이라면서 “집값의 본격적인 하락이 시작됐다”고 분석했다.

장웨이(張偉) 지난(濟南)대 경제학원 부원장은 “서민주택 공급이 크게 늘어나며주택시장의 공급난이 크게 완화했고 정부의 1가구2주택 구입 제한 등 부동산 가격 억제 정책이 효력을 나타내며 주택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다”면서 “불필요한 주택수요가 억제되며 집값이 하락 조짐을 보이고 있어 내년 집값은 현재 보다 40%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정부는 주택시장의 가격 하락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부동산 정책을 지속할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주택건설부는 최근 논란이 된 주택구입제한정책에 대해 부득이 하게 시행한 조치이며 이제 효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고 재정부는 상하이와 충칭(重慶)에서 시범 도입한 주택 재산세를 정착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장웨이 부원장은 “주택 가격 억제는 장기적인 임무”라고 전제하면서 “만약 지금부동산 정책을 완화하면 집값이 바로 반등해 현재보다 더 높아질 것이기 때문에 정책의 지속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