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획>청년 창업...한국판 애플을 만들자(1) 선순환 창업생태계 조성···청년창업사관학교 등 종합연계지원을 통한 청년 창업 활성화 기대
<전문>경기침체로 인한 청년실업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매년 수많은 고학력 청년들이 사회에 발을 내딛고 있지만, 고용없는 성장이 심화되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청년 창업 감소는 우리나라 경제(중소기업계) 생태계의 활력을 급격히 떨어뜨리고 있다. 이에 헤럴드경제는 청년층이 두려움 없이 창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청년창업 성공 모델이 수립될 수 있도록 총 5회에 걸친 기획 시리즈를 마련했다. 정부의 창업 정책을 제대로 파악하고, 성공 창업을 이룬 대표기업의 벤치마킹을 통해 한국한 애플과 구글의 탄생을 기대해 본다.

<1> 선순환 창업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
전반적인 창업 증가세에도 청년창업은 감소 추세에 있다. 최근 모바일 분야의 창업기회 확대 등으로 30세 미만 청년창업은 지속적인 증가세지만, 아직도 전체 신설법인 중 30세 미만 청년의 비중은 4.2%로 낮은 수준이다.
청년들이 창업보다는 취업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청년들은 위험이 따르는 창업보다는 취업을 상대적으로 선호하며, 대학생은 직업의 안정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한 설문조사 결과도 이 같은 현실을 반영한다. 더불어, 정부의 의지와는 달리 창업지원정책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 등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창업에 도전하려는 청년들에게 수많은 난관이 있다는 것 또한 간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미국이 최근 몇 년 동안 경제위기로 인해 국가 전체가 휘청거릴 정도로 위기를 맞으면서도 쓰러지지 않고 저력을 발휘하는 것이 바로 청년벤처(마이크로 소프트, 애플, 구글 등) 덕분이었다.
사실 현재 청년벤처 창업으로 창업생태계를 활성화하려는 정부 노력은 역대 최고 수준이다. 중기청은 8차례에 걸쳐 벤처창업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 예비창업자가 두려움 없이 창업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다양한 성공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창업절차 간소화, 기술창업 활성화, 1인 창조기업 활성화, 청년 기술․지식창업 지원 대책 등 연령별, 분야별로 다양한 지원대책을 통해 제 2의 벤처ㆍ창업 붐 조성의 기틀을 마련했다. 창업자금 확대, 청년 및 기술창업 특례 보증 도입 등 창업기업의 자본 접근성을 높이고, ‘기업가정신재단’ 설립, 온라인 재택창업시스템 구축 등으로 창업자의 부담을 완화했다.
지난 5일에는 여당에서도 정부와 공동으로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해 청년 창업ㆍ창직 지원 예산을 지난 해 대비 2500억원 증액한 4900억원 규모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아이디어 창업 및 창업 초기단계 지원을 위한 청년 전문 창업자금 2000억원이 우선 지원될 예정이다.
특히 중기청이 청년 실업문제의 해소와, 젊고 활력있는 중소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적극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 청년창업사관학교 설립이다. 올해 3월 중기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이사장 송종호)은 ‘청년창업사관학교’를 설립해 혁신적인 생각과 우수한 기술로 창업에 도전하는 열혈 젊은 CEO 양성에 나서고 있다.
청년창업사관학교는 기술집약형 창업 아이템을 사업화하고자 하는 청년 예비창업자(만 39세 이하)를 선발해 교육, 전문인력 1대1 집중 코칭, 사업 준비공간 제공, 기술 및 개발 장비 활용, 마케팅 연계 지원 등 창업단계 전 분야에 걸친 입체적 지원을 통해 사업화 경험이 부족한 청년 CEO를 자생력 있는 성공 창업 CEO로 양성하고 있다.
개교 첫 해인 올해는 청년기술창업CEO 약 200명을 배출할 예정으로, 총 1292명을 신청ㆍ접수받아 241명의 청년창업자를 선정했다. 중감 점검을 통해 사업수행능력 미달자 17명을 퇴교조치 시키는 등 제대로 된 창업 CEO를 양성키 위해 선택과 집중 방식을 적용했다.
이 같은 방식은 선정 및 지원 조건이 까다로운 만큼 졸업 후에도 중소기업진흥공단의 다양한 지원책을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졸업 후에도 장책융자, 투자유치, 입지 및 판로지원 등의 연계지원을 통해 청년 CEO가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대학의 체계적인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준비단계의 창업지원시스템을 강화하고, 성공 기업인들의 노하우가 예비창업자에게 쉽게 전수되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때 창업생태계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 창업 자문교수인 정남기 박사(부산 동아대ㆍ경제학)는 “벤처버블 붕괴 이후 엔젤투자 위축과 중간회수시장이 미비해 지고 있는 시점에서 창업자, 대학 등 창업지원기관, 투자자 등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환경이 절실하다”며 “현 정부의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일련의 노력들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이권형 기자/kwon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