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새책>시대는 흘러도 부부는....
“월하노인 데리고 명부에 하소연하여/내세에는 부부간 처지를 바꾸어서 내가 죽고 그대 천리 밖에 살아남아/당신으로 하여금 슬픈 마음 알게 하리라” 1842년 추사 김정희가 귀양지 제주도에서 아내의 부음을 듣고 지은 시다. 상처(喪妻)의 회한이 애절하다.

시대는 흘러도 변치 않는 게 부부간의 사랑과 이별이다. 조선시대 부부유별이 얼음벽처럼 차갑고 두터웠다 해도 애틋한 정마저 없었던 건 아니다. ‘부부’(문학동네)의 저자인 서울대 국문과 이종묵 교수는 옛 문헌을 통해 부부의 의미를 살피고 있다.

물론 조선시대 결혼에 대한 관념과 제도는 오늘날과 다르다. 혼인은 개인이 아닌 가족과 국가의 대사였으며 ‘남녀상열’은 음탕한 풍속으로 간주됐다. 하지만 남녀의 사사로운 정을 금하는 등 결혼에 대한 금기는 외려 금기를 깨는 일이 흔했음을 반증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옛 선비라 하여 모두가 목석은 아니었다. “오늘밤 촛불 켜지 않았더니/낭군의 얼굴은 보이지 않고/향긋한 숨소리만 듣다가/아침에 거울 보고 하는 말/‘어찌하여 뺨에 바른 연지가/낭군 얼굴에 가득 묻었나요?’” 신혼을 다룬 이안중의 ‘달거리 노래’에는 농염하지 않고 은은한 아름다움이 있다.


또 아내가 늘 수동적인 역할에만 묶인 것도 아니었다. 내조는 남편을 바르게 이끄는 적극적 역할을 의미했으며, 일례로 남편의 잘못을 조곤조곤 따지는 강정일당의 편지에서는 날카롭고 매서운 기품마저 느껴진다.

“부부는 인문학과 문학 연구의 가장 큰 본령”이란 저자의 말처럼 사랑이 인문학의 영원한 주제인 만큼 옛 사람의 삶과 생각을 헤아리는 일은 흥미롭고 의미 깊다.

물론 거기엔 남성중심주의적 시각이 많지만 “소는 누가 키우고?”라며 윽박지르는 못난 남자가 아니라면 부부의 도리가 차별ㆍ굴종이 아닌 예의ㆍ공경에 있음을 읽기란 어렵지 않다.

<김기훈 기자@fumblingwith>
/kih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