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할당관세’ 적용 효과…돼지고기값 안정세
6개월간 월평균 13% 인하

추석이후 하락세 지속될듯


할당관세 적용으로 지난 6개월간 돼지고기값이 월평균 약 13% 인하되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또 하반기에 돼지 사육 규모가 지난해의 70~80% 수준까지 회복되면서 추석 이후 돼지고기 가격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농림수산식품부가 농촌경제연구원(KREI)에 의뢰해 내놓은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가격 안정 방안’에 따르면, 지난 2월 이후 할당관세 실시로 인해 총 2만4538t의 돼지고기 수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이 늘면서 ㎏당 평균 가격도 7694원에서 6683원으로 하락했다.

돼지고기 할당관세의 효과가 수치화돼 나온 것은 처음이다. 민간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인 데 반해 국내 축산 농가들을 어렵게 만드는 부(-)의 효과가 크다는 이유를 들어 과도한 할당관세 적용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할당관세 적용으로 적지 않은 가격 인하 효과가 있었지만, 여전히 돼지고기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5% 이상 높다.

한편 농식품부는 올 하반기 전체 돼지 사육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70~80%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3월 전체 사육 규모가 703만6000마리에서 6월 733만마리로 4.2% 증가했고, 모돈도 3.8% 증가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사육 규모 증가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에 따른 돼지고기 가격도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도축 수 및 돼지고기 수입량 증가, 높은 가격대로 인한 대체 축산물 소비 확대 등으로 추석까지는 하향 약보합세를 유지하다가 추석 이후에는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돼지고기 가격 안정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돼지고기 및 모돈 수입 확대, 비선호 부위 소비 촉진 등을 지속 추진키로 했다. 한우와 닭, 오리 등의 할인 판매를 통해 대체 축산물 소비 유도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홍승완 기자/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