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성장률마저…4%대 아래로
2분기 3.4% 성장 2009년 4분기 이후 처음…실질 국민총소득은 플러스 전환
올해 2분기 우리 경제 성장률이 4% 아래로 떨어졌다. 치솟는 물가 탓에 저축률은 2분기 연속 하락했다. 다행히 1분기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플러스로 돌아섰지만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증가율은 2년 만에 최저수준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4% 성장하는 데 그쳤다. 전기 대비로도 0.9% 성장에 머물렀다.

경제성장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 4분기 6.3%를 시작으로 2010년 1분기부터 지난 1분기까지 6분기 연속 4%대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었다.

제조업은 금속제품, 전기전자기기 등의 생산이 준 반면 일반기계, 운송장비 등이 증가하면서 전기 대비 1.4% 늘어났다.

하지만 1분기(3.1%)에 비해서는 증가세가 현저히 둔화됐다. 지난해 2분기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온 건설업은 2분기에 2.6% 증가했다.

이는 상업용 건물 등 비주거용 건물 건설이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서비스업은 전기 대비 0%로 제자리걸음이었다.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외에서 생산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는 전기 대비 0.2% 증가했다. 국내 소득은 줄었지만 해외에서 벌어온 돈이 늘어 국민들 호주머니를 채웠다는 뜻이다.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5% 상승했다. 총저축률은 31.3%로 전분기 대비 0.6%포인트 하락했다. 최종 소비지출이 국민총처분가능소득보다 더 크게 늘어난 탓이다. 총투자율은 29.5%로 전기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신창훈 기자/chuns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