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출금리 상승세 금융권 전방으로 확산
대출금리 상승세가 시중은행은 물론 제2금융권까지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서민들의 금리 부담도 더욱 커질 전망이다.

3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연 5.86%로 전월보다 0.06%포인트 상승했다. 잔액 기준 총대출금리도 연 6.08%로 0.02%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금리는 연 5.46%로 전월보다 0.01%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비중이 가장 큰 주택담보대출(연 4.90%)과 일반신용대출(연 7.79%)는 각각 0.03%, 0.26%포인트 올랐다.

지난달 하락세를 나타냈던 제2금융권 대출금리도 일제히 올랐다.

저축은행 대출금리는 연 17.50%로 전월보다 2.43%포인트나 뛰어올랐다. 기업대출 감소로 상대적으로 고금리인 가계대출 비중이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신용협동조합 대출금리도 연 7.35%로 전월보다 0.13%포인트 올랐고, 상호금융(농협) 대출금리도 연 6.25%로 0.07%포인트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6월 기준금리 인상 후 시장금리의 상승세가 확산되면서 금융기관의 대출금리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은행들의 이자 마진은 최근 수년 내 최고 수준을 나타내 빈축을 사고 있다.

7월 예금은행의 잔액 기준 총수신금리는 연 3.08%로 전월보다 0.03%포인트 올랐다. 총수신금리와 총대출금리(6.08%) 차이는 3.0%포인트에 달한다.

이는 최근 수년 새 최고 수준이다. 예대금리차는 2007년 2.96%포인트, 2008년 2.7%포인트, 2009년 2.68%포인트로 낮아지는가 싶더니 지난해 2.85%포인트로 올라섰다.

이어 올해 1월 2.91%포인트, 2월 2.95%포인트로 오르더니 3월에는 3.0%포인트로 올라서 이후 3%포인트대에서 떨어지지 않고 있다.

대출금리는 이달 들어서도 오르고 있어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은행들은 가계대출 억제를 핑계로 이달 들어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의 가산금리를 속속 올린데다 지점장 전결금리 등을 축소해 실질 대출금리마저 높였다.

헤럴드 생생뉴스/ onli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