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유전쟁 2라운드
‘130원+α’가격협상 가닥

적용시기 놓고 이견


축산 농가와 우유업체 간의 원유(原乳)가격 인상 협상이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다. 양측이 ‘130원+α’선에서 합의할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적용 시기를 놓고 이견을 해소하지 못한 상황이다.

16일 낙농가와 유업체 관계자들에 따르면 지난 13일 이후 진행된 비공개 협상을 통해 낙농가들이 현재 리터(L)당 704원인 원유가격에 대해 정부 중재안인 ‘130원+인센티브 8원’안을 받아들이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우유업체는 이미 정부 중재안 수용의사를 밝혔고 낙농진흥회 관계자 역시 “정부 중재안의 수용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때문에 낙농가들이 중재안을 받아들 일 경우 협상이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인다. 낙농진흥회는 16일 오후 2시 이사회를 열어 원유가격 인상폭과 시기를 결정한다.

하지만 양측은 인상가격의 적용 시기를 놓고 입장이 엇갈려 협상 타결을 낙관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현재 낙농농가들은 인상분을 8월 1일부터 소급 적용해 달라고 요구하는 반면 우유업체들은 정부의 연내 유제품 소비자가격 인상 자제 요청을 이유로 내년 적용을 주장한다. 만약 양측이 합의해 리터당 원유가격이 현행 704원에서 834원으로 오를 경우 현행 2200원 선인 우유 1리터 제품의 가격은 약 300~400원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유 자체가 소비자물가지수를 산정하는데 중요한 품목인 데다, 우유값 인상이 빵, 아이스크림, 치즈, 분유, 등 물가를 산정하는데 포함되는 다양한 가공식품에 연쇄적으로 가격인상 압력으로 이어지게 된다.

우유값이 인상되면 최근 논란이 되는 서울시의 무상급식 예산도 늘어나야 한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내년 초등학교 전체와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무상급식을 하는 데 필요한 총예산은 2842억원이며 이 중 우유값은 13.4%인 380억원가량이다. 단순계산할 경우 우유값이 19.4% 오르게 되면 무상급식 비용도 74억원 정도 늘어나게 된다.

홍승완 기자/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