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석동 금융위원장 “필요시 시장안정책 단호히 추진하겠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11일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강등 이후 국내 금융시장의 혼란에 대해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조치를 단호하게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KBS 라디오의 한 프로그램에 출연해 공매도금지 등 최근 정부의 시장안정조치에 대해 설명한 뒤 ”금융시장을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향후 시장상황에 대해 “금융 부실로 야기된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때와는 달리 이번엔 실물경제 문제이기 때문에 경기회복에 시간이 걸리겠지만 단기적으로 큰 충격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세계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무역규모가 축소되면 실물경제회복에 어려움이 초래될 수 있을 것”이라며 “G7이나 G20과 같은 국제적인 정책공조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에 대해선 “미국은 국가부채 때문에 경기회복을 위한 정부지출이 제한되고, 유럽도 추가적인 재정정책이 어렵다. 중국은 인플레 문제가 있고, 일본도 국가부채로 인해 정책카드가 많지 않다. 때문에 세계경제 회복의 걸림돌이 된다는 우려는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그래서 무엇보다 국제적인 정책공조가 중요하고, 국제공조가 실패한다면 어려워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제전망에 대해선 경상수지 흑자 등을 언급한 뒤 “은행쪽도 외화유동성과 같은 건전성이 과거보다 좋아졌다는 게 국제적인 평가”라며 “우리나라의 기초체력이 강해졌기 때문에 시장도 점차 안정되는 모습을 되찾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김 위원장은 최근 포퓰리즘 논란을 불러일으킨 정치권의 저축은행 피해자 보상방안에 대해 “채권자 평등원칙과 부분보장원칙, 자기투자책임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정부는 현행법 테두리 안에서 예금자와 투자자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파산배당을 최대화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반기 저축은행 구조조정에 대해선 “감독당국이 85개 저축은행의 경영진단을 실시하고 있다”며 “저축은행이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제 기능을 하도록 지원해주되, 어려울 경우엔 신속하게 구조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재섭 기자 /@JSYUN10>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