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승민 나경원을 주시하는 이유, 따로 있다
한나라당의 7ㆍ4 전당대회에서 홍준표 의원이 새 대표에 선출됐지만, 2위를 기록한 유승민 의원과 연속으로 최고위원에 당선된 나경원 의원이 주목받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유 의원과 나 의원이 오히려 이번 전대의 진짜 승자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이번 7ㆍ4 전당대회에서 유승민 후보는 예상을 깨고 당 대표에 이어 2위를 차지하는 ‘대이변’을 연출했다. 당초 낮은 인지도와 지난 4년간 중앙 정치무대에서의 ‘공백’ 때문에 상위권이 힘들 것으로 예상됐지만, 결과는 달랐다.

유 의원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핵심 측근으로 친박계가 전폭적으로 지원, 2위 돌풍을 일으켰다. 특히 유 의원은 야당에서 주장하는 무상급식을 전면적으로 수용하는 등 민생과 복지를 강조한 ‘넓은 보수’로 여론의 지지도 얻었다.

유수호 전 국회의원(13·14대)의 아들로 1975년 대입 예비고사에서 전국 3위를 차지할 정도로 수재인 그는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선임 연구원으로 재직하다 2000년 2월 이회창 총재에 의해 여의도연구소장으로 영입돼 정치권에 입문했다.

2004년 비례대표로 금배지를 단 뒤 2005년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으로 박 전 대표와 인연을 맺었다. 이후 2007년 대선 경선시 박근혜 캠프에서 이명박 후보를 향한 공격의 최선봉에서 ‘전투력’을 과시했지만 경선 패배 이후부터는 ‘정치적 칩거’에 들어가 18대 총선과 국회 상임위로 활동 영역을 줄였다.

그러나 이번 전대에서 2위 돌풍을 일으키면서 한나라당의 차세대 정치인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게 됐다. 더욱이 선출직으로 당 최고지도부에 입성, 쟁쟁한 선배 정치인들을 물리치고 명실상부한 친박의 대표주자로 자리잡게 됐다.

박 전 대표가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여론조사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친박 진영의 정치 전략 및 대선 전략에서 유 의원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내 갈등의 핵심인 친이계와 친박계의 갈등 해소를 통해 박 전 대표를 통한 정권 재창출의 선봉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대중적 인기를 누리고 있는 나경원 의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대표 경선에서 최고위원 자리를 차지함으로써 차세대 리더에서 이젠 유력 정치인으로 입지를 강화하게 됐다. 특히 나 의원은 대학 동기동창이자 정치적 경쟁자인 원희룡 최고위원을 앞서는 지지를 받으면서 사실상 ‘리턴 매치’에서 승리, 화제가 되고 있다.


작년 4월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서 나 의원은 원 의원을 누르고 후보단일화를 성사시키며 사실상 1승을 거두었다. 1년2개월여 후 당 대표 자리를 놓고 치러진 이번 이번 전당대회에서도 나 후보가 3위, 원 후보가 4위로 나 의원이 2승을 거둔 셈.

나 의원과 원 의원은 모두 친이계로 거론됐으나, 나 의원이 탈(脫)계파를 선언하면서 새로운 면모를 보였다. 특히 나 의원은 폭넓은 대중적 인지도와 친화력을 바탕으로 친이-친박으로 나뉜 한나라당에서 독자노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정치권에서는 차기 유력 대선 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 진영의 정치적 대변인 역할을 할 유승민 새 최고위원과 새로운 유력 정치인으로 독자노선의 가능성을 보여준 나경원 새 최고위원의 향후 정치적 행보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