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정위 6만 제조업체 하도급 거래 서면 실태조사 착수
이달 30일 개정 하도급법 시행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가 6만 제조업체에 대한 하도급거래 서면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공정위는 “내달 13일까지 총 4주간에 걸처 제조업 3000개 원사업자에 대한 조사를 먼저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공정위는 지난 1999년부터 불공정 하도급거래 예방과 상시 감시체제 구축 차원에서 매년 서면실태조사를 실시해왔다. 지난해까지는 하도급 거래 비중이 높은 제조업과, 건설업, 용역업을 매년 한꺼번에 조사해왔으나, 개정 하도급법 시행을 맞아 조사의 심도를 높인다는 차원에서 올해부터는 제조업과 건설ㆍ용역업을 분리, 격년제로 순환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올해는 매출액 200억원 이상의 제조업분야 3000여 원사업체와 5만7000개 수급 사업자가 조사를 받게 된다.

공정위는 원사업자 조사 실시후, 8~9월에는 수급사업자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다. 이후 10~11월은 위반혐의 원사업자에 대한 자진시정 촉구 기간으로 삼고, 12월께 부터는 문제 업체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시정조치 등을 내릴 계획이다.

올해 조사에서는 부당감액, 부당한 하도급대금 결정, 지연이자 및 어음할인료 지급 여부와 현금성 결제비율, 어음결제비율 및 기간 등 하도급대금 지급관행 등을 살피게 된다.

특히 개정 하도급법 시행과 관련해 표준하도급 계약서 사용실태와 ‘3대 가이드라인’ 운용 여부와 실태 등도 중점적으로 드려다 볼 예정이다. 3대 가이드 라인이란 △대 · 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을 위한 바람직한 계약 체결 가이드라인 △협력업체 선정 · 운용 가이드라인 △하도급 거래 내부 심의위원회 설치 · 운영 가이드라인 이다.

개정 하도급법 시행시 무조건 과징금이 부과되는 하도급업체에 대한 ‘기술자료 탈취 · 유용행위’도 조사 대상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특히 2차 이하 협력사의 법위반 실태를 파악에 중점을 두고 대금 미지급행위나 계약서를 주지 않는 하도급실태 등을 파악해 시정하는 데 역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는 공정위 하도급거래 서면실태조사 홈페이지(http://hado.ftc.g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공정위는 조사대상 업체들이 서면 실태조사의 취지를 쉽게 이해하고 정확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작성 요령과 하도급법 개정 내용에 대한 설명회를 오는 27일부터 11개 시도에서 총 14회 실시할 예정이다.

<홍승완 기자 @Redswanny>

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