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황금평 개발, ‘先 민간투자 後 중국 보장 방식’ 취하기로
‘제2의 홍콩’을 표방하는 북한 황금평 특구의 착공식이 8일 열렸다. 이어 9일에는 나선특구를 겨냥한 도로 보수공사 착공식도 열릴 계획이다.
한 대북소식통은 “훈춘에 있는 사람들이 오늘 대거 나선특구로 이동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9일 착공식이 열리는 것이 거의 확정적”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에 의하면 황금평 개발은 홍콩의 투자회사인 신헝지국제그룹 등 민간 기업이 맡고 중국 기업이 손실을 보전하는 방식을 취하기로 했다. 애초 중국 정부의 직접 투자를 강력하게 주장했던 북한과 민간 투자를 원칙으로 했던 중국이 가까스로 찾은 접점이다. 북한과 중국은 애초 지난달 말 착공식을 열 계획이었으나 투자 주체에 대한 이견으로 착공식을 연기한 바 있다.
이 소식통은 “기본적으로 신헝지국제그룹과 같은 민간 기업이 개발을 주도하되, 중국 정부가 만약에 발생할 손실의 80%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합의를 본 것으로 안다”면서 “투자 상한선도 최근 대폭 상향조정됐다”고 전했다.
홍콩 신헝지국제그룹의 참여는 황금평을 ‘북한의 홍콩’으로 만들겠다는 북한 당국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신헝지국제그룹은 소유 자산이 600억홍콩달러에 이르는 다국적 투자회사로, 북한은 이 그룹의 가오징더 이사장을 신의주 특구의 새 행정장관으로 임명하는 파격적인 조치를 취했다.
양국은 지난해 작성한 ‘조ㆍ중 황금평 공동 개발 총계획 요강’에 따라 북한과 중국은 이 지역에 가공업, 정보산업, 관광문화산업, 현대시설산업 등 4대 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단기적으로 공동 시장과 피복공장 등을 먼저 건설한 뒤 점차 범위를 확대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황금평과 신의주를 잇는 여객과 화물 부두, 황금평 특구 내부의 도로망을 조성하며 황금평과 중국 단둥 신구를 잇는 2개의 출입도로도 건설할 예정이다.
이날 열린 착공식에는 북ㆍ중 경제 협력을 주도하는 합영투자위원회의 리수영 위원장과 중국의 천더밍 상무부장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요구한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참석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김윤희 기자/wor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