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감원이 강제매각 진행…고양이한테 생선 맡기나…”
부산저축은행 피해 예금자들의 농성이 무기한 계속될 전망이다. 부산저축은행 예금자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 소속 200여명이 초량동 본점 3~4층을 점거한 채 사흘째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피해 보상도 없이 매각을 진행한다는 게 말이 됩니꺼? 대출 비리까지 저지른 금융감독원이 부산저축은행 강제매각 절차를 진행한다니 고양이한테 또다시 생선을 맡기는 꼴 아입니꺼. 강제매각은 예금자를 두 번 울리는 겁니더. 즉각 중단하고 예금 피해자 보상을 먼저 해 주이소.”

김옥주 비대위원장은 격앙된 목소리로 피해보상 없는 강제매각 절차를 중단할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지난 9일 오후 1시께 초량본점을 점거해 농성을 시작했던 비대위 측은 자신들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무기한 농성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농성에 들어간 예금 피해자들이 대부분 60~70대의 고령이라서 농성 과정에서 또다른 피해도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피해 예금자 박모(67) 씨는 “평소에도 당뇨 때문에 병원에 다니고 있는데… 너무너무 고통스럽고 지옥 같은 상황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비대위 측은 영업정지 직후, 부산저축은행 화명지점에서 발생한 예금 인출과 관련해 폐쇄회로(CC)TV 공개를 요구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화명지점 측에 예금 사전인출을 증명할 CCTV 화면 공개를 요구했지만 은행 측이 엉뚱한 화면만 공개하고 경찰 출두 사실조차 부인하고 있다”며 “은행이 예금 인출과 관련해 숨기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검찰이 나서서 철저히 밝혀달라”고 했다.

피해 예금자와 부산저축은행 직원들은 처음 점거 과정에서 다소 고성이 오가기도 했지만 이후로 별다른 충돌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금융당국에서 자산 실사를 위해 파견한 회계사들은 비대위 측의 요구로 10일 오전 모두 철수했으며, 이 때문에 금융당국은 별도의 사무실에서 부산저축은행 관련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예금자들의 점거 농성을 불법으로 간주해 자체적으로 해산할 것을 명령하고, 계속 불법 점거농성이 이어진다면 강제해산이 불가피하다고 비대위 측에 경고했다. 하지만 전국적인 시선이 쏠린 저축은행 사태에 공권력을 동원해 강제해산을 시키는 것은 경찰로서도 부담이 될 전망이다.

윤정희 기자/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