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 수요층 매수여부가 관건
선거·풍부한 유동성 감안을
올 들어 4번째 건설ㆍ부동산 부양책인 ‘5ㆍ1 건설경기 연착륙 및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의 실효성이 관심사다. 특히 그동안 쉽게 손을 대지 못한 수도권 지역의 2년 거주 양도세 비과세 요건 폐지와 리츠 펀드법인의 민간 분양주택 매입 허용, 2종 일반주거지 층수제한 폐지, 주택사업계획승인 대상 확대(30가구 이상) 등 획기적인 고강도 지원 및 규제완화책이 포함된 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 금융권의 PF대출 만기연장과 신규 자금 지원, 6조원대의 배드뱅크 설립, 국회의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재제정 등의 회생 해법이 병행 추진되며 건설 위기 탈출 여부가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

결국 건설 위기는 시간과 시장의 싸움이다. 건설-금융업계 간 유기적 협조, 정부의 대출연장 개입과 저축은행의 부동산 대출비중 규제(50%) 유예가 관건이다. 조기 매듭을 위해서는 건설업체들의 오너 출자전환 등 희생도 고려돼야 한다. 금융권 역시 사업 리스크를 떠안는 등 기업회생에 역점을 두어야 공멸을 피할 수 있다. 일본의 장기침체,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모두 부동산에서 유발된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어 해결의 키가 주택시장 정상화에 있는 만큼 보다 전향적인 세제 개편, 재개발ㆍ재건축 규제완화책, 수요자 금융지원책 등 불쏘시개 대책이 필요하다.
하지만 불황을 벗어나면 주택시장은 재차 수요가 일 것이라는 전제도 고려돼야 한다. 국토해양부가 주택 절대부족현상 해소와 소가구 및 고령화, 임차시장 활성화 등의 시장환경 변화에도 향후 10년 동안 연평균 39만~42만가구(수도권 23만~25만가구)의 유효수요가 존재할 것으로 보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더구나 내년에 부동산과 연관성이 깊은 총선 및 대선이 있고 누적된 부양시책 효과가 일정한 시간이 지나서 반영된다는 점, 바닥의 풍부한 유동성 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ch100@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