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위기의 금감원, 극약처방이 조직 살릴 수 있을까?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이 권역 파괴 인사로 위기 돌파를 시도했다. 최근 내부 직원들의 연이은 비리 사건과 저축은행 감독 실패 등에 쏟아지는 여론의 집중포화로부터 조직을 구하기 위해 선택한 초강수다. 하지만 눈 앞의 조직 쇄신을 위해 ‘전문성’을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적잖다.

지난 27일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은 금감원 전직원을 소집해 내부 기강을 재확립하고 사명감을 갖고 근무해줄 것을 직원들에게 당부했다. 최근 문제가 된 내부 직원 비리 근절을 위해서 업계와의 유착을 끊어야하며 이를 위해 기존 금융권역 별로 구분돼 실시되던 인사 시스템을 대폭 뜯어고칠 뜻을 밝혔다.

금감원은 크게 은행, 증권(자본시장), 보험, 비은행 등으로 권역이 구분되고 해당 권역내에서 직원 인사가 이뤄져왔다. 그 칸막이를 없애고 국ㆍ실장, 팀장 직원이 권역 구분없이 직무를 수행토록 하겠다는 뜻이다.

권역별 인사 관행은 금감원이 과거 한국은행(은행감독원), 증권감독원, 보험감독원, 신용관리기금 등을 통합(1999년 )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통합 이후 채용된 직원은 이같은 권역별 칸막이에 구애받지 않았지만 개별 기관 출신 고참 수석조사역 등은 여전히 해당 권역 내에서만 인사가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오랜 기간 해당 권역에 종사하는 직원들과 업계와 유착이 깊어진다는 부작용을 의식한 것이 권역 파괴 인사의 출발점이다. 그래서 권역파괴 인사는 국ㆍ실장급과 팀장급에 한정된다. 당초 금감원은 금주 중 국.실장급에 대한 인사를 단행하려 했으나 이같은 인사시스템 변화에 따라 일정이 다음달로 순연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업계 유착 의혹과 비리 근절을 위해 원장이 특단의 대책을 내린 셈”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권 원장의 인사 혁신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선 넘어야 할 난관도 없지 않다.

우선은 권역 파괴 인사가 금감원의 생명인 전문성을 떨어뜨려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공무원 조직과 달리 무자본 특수법인인 금감원은 오랜 기간 시장을 공부하고 노하우를 쌓은 인력들의 전문성이 생명이다.

지난 99년 국세청이 비리근절을 이유로 일선 세무공무원의 지역담당제를 없애버린 당시에도 비슷한 불만사례가 나타났었지만 오늘날 새 시스템으로 정착됐다. 경제기획원과 재무부가 통합할 당시에도 화학적 융화를 위한 교차 인사가 진행됐었다.

그보다는 직원 한두 사람의 비리문제를 전체로 일반화시켜 인사에까지 반영함으로써 모두 죄인으로 만들어버렸다는 일부의 불만 분위기를 쇄신하는 게 더 시급하다는 지적도 있다.

<박정민 기자@wbohe>
boh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