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포럼>재보선 이후의 “가상 정국”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며칠 안남은 재보선 때문에 정치권의 관심은 온통 선거에 쏠려 있다. 그런데, 이번 재보선은 단순히 몇 개의 지역에서 승리하느냐로 승패를 가를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박근혜 전대표가 유일하게 간접적이나마 간여했던 강원도에서만 한나라당이 승리하고, 다른 지역을 모두 패한다고 가정한다면, 박 전대표의 대선 후보로서의 위상은 더욱 탄탄하게 될 것이고, 다른 지역을 모두 패하고 김해 을만 승리하게 된다면, 김태호 후보는 한나라당내 대선후보로서 본격적인 레이스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사정은 민주당도 마찬가지이다. 분당 을에서의 승리는 곧바로 불투명했던 야권 대선 후보가 가시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재보선의 결과에 따라 지도부 인책론이 불거질 것이라고 예측하기보다는, 대선 구도와 맞물린 지도부 인책론이 제기될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예를 들어 한나라당이 강원도지사 선거만 승리했다고 가정한다면, 친이계는 더욱 강해진 박 전 대표를 견제하기 위해서, 강성(强性) 친이 직계 지도부를 구성하려 들 것이고, 이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이재오 특임장관이 당을 맡아야 한다는 말들이 본격적으로 나올 수 있다. 반면, 김해 을만 승리하게 되면, 일단 친이계 쪽에서는 박근혜 대항마를 확보했기 때문에, 현 지도부의 존속을 희망하겠지만, 친박 쪽에서는 지도부 인책론을 주장하며 최소한 중립적인 지도부를 구성하려 시도할 것이다.

여기에서 또 하나의 시나리오, 즉, 강원, 김해 모두 승리하는 경우와 두 곳 모두 패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두 곳 모두 승리하게 된다면, 친이 쪽에서는 현 지도부의 유임을 주장할 것이고, 친박 쪽에서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지도부의 조기 교체를 들고 나올 가능성이 높다. 기사회생하며 새로이 등장한 김태호 전 지사를 견제하기 위해서이다.

반대로 두 곳 모두 진다면, 한나라당은 그야말로 혼란 그 자체가 될 것이다. 박 전대표는 정치력을 의심 받게 되고, 친이 쪽에서는 마땅한 박근혜 대항마를 찾을 수 없는 상황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친이계는 이재오 장관을 대안적 대항마로 등장 시킬 수 있다. 이런 시나리오들을 종합하면, 이재오 장관이 정치 전면에 나설 확률이 높다는 결론에 다다를 수 있다. 더구나 이재오 장관은 막강한 무기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개헌”이다. 즉, 개헌이라는 아젠다를 가지고 기존의 이념적 구도를 허물어뜨리고 이른바 “권력분산 대연합”을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대선구도의 판 자체가 바뀌어 버린다. 대선구도의 판 자체가 바뀐다는 사실은, 기존의 대선 후보들을 한 순간에 흔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존의 이념 중심의 연합 구도도 바뀌어 버리는데, 예를 들어 분당 을의 결과에 따라서는, 민주당의 일부와 친이계 그리고 자유선진당이 한 배를 탈 수도 있는 연합 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 초래되면, 기존의 대선 등식은 더 이상 맞아 떨어질 수 없게 된다.

물론 이런 상황은 어디까지나 가설에 불과 하지만, 때로는 가정이 현실이 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것이 한국 정치이기 때문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