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결국..."3% 물가목표 포기-,5% 성장 목표도 하향 검토"
정부가 올해 3%인 소비자물가 목표를 3% 중후반까지 상향조정할 방침이다.
5% 내외인 성장률 목표는 4% 중반으로 낮추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중이다.
1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거시경제 목표치를 이같은 방향으로 수정, 빠르면 다음달중 공식 언급할 예정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올들어 3개월째 물가가 4%를 넘어선데다 국제유가 상승등 대외여건을 감안할때 당초 물가 목표 3%는 상향조정이 불가피하다”면서 “다만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날 제시한 4.5%는 지나치게 비관적인 것으로 정부는 그렇게까지 보지는 않는다”고 말해 3% 중후반 수준으로 조정할 것임을 시사했다.
성장률의 경우도 원화가치 상승과 중동정세 불안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일본 원전사태, 유럽 재정위기 등 불확실한 대외여건으로 인해 5%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4% 중반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성장률은 4%대로 떨어뜨리면서 물가는 어떻게든 3%대에서 잡겠다는게 의지로 풀이된다.
이 관계자는 “이달말 거시지표와 관련한 1분기 수치를 확인후 필요시 수정 작업에 들어갈 것”이라며 “정부의 목표 수정치를 6월 하순 발표하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담을지 아니면 당겨서 다음달쯤 발표할지는 아직 정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IMF는 지난 11일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4.4%로 유지한 반면 물가 상승률은 당초의 3.4%에서 4.5%로 1.1%포인트나 올려 잡았다.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도 한국 경제 전망치를 속속 조정하고 있는 가운데 노무라가 이날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해외 IB 중 가장 낮은 3.5%를 제시했다. 노무라는 한국 경제가 견조한 수출모멘텀을 유지하고 있지만 내수회복세가 약화되는 등 경제의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앞서 HSBC는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의 4.9%에서 4.7%로 소폭 하향했고, 크레딧 스위스는 4.8%에서 4.4%로 수정했다.
<김형곤 기자 @kimhg0222>
kimh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