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방사성 물질 남하, 원전 계획 재검토
중국 동북부 헤이룽장(黑龍江)성에 이어 동남부 6개 성ㆍ시에서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면서 중국 전역에 핵오염 공포가 엄습하고 있다. 중국의 핵발전소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도 처음으로 제기됐다.

지난 26일과 27일 동북부 헤이룽장 성의 3개 관측소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날아온 것으로 보이는 방사성 물질 요오드-131이 소량 검출됐다. 국가핵사고응급협조위원회는 이 사실을 즉각 통보하고, 중국 위생부는 14개 도시에서 식수와 식품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지시했다.

이어 28일 동남부 연안지역인 장쑤(江蘇)성, 상하이(上海)시, 저장(浙江)성, 안후이(安徽)성, 광둥(廣東)성, 광시(廣西)좡족자치구의 검측지점에서도 요오드-131이 검출되면서 방사성 물질이 남하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핵사고응급협조위원회는 일본 원전 사고로 유출된 방사능 물질이 대기중에 확산된 결과라며 농도가 자연상태 방사능의 10만분의 1 수준으로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26일의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일본 지진으로 인한 원전사고 영향이 중국에까지 미치면서 중국 위생부는 핵사고보호상식, 방사능요오드 문답 등 관련 지식을 꾸준히 배포하며 국민들의 불안감을 잠재우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동북부 지역에 이어 동남부 지역으로 방사능 유출 범위가 확대되면서 핵공포감이 극대화 되고 있다.

일본의 원전사고 영향에도 불구하고 원전 개발을 지속하겠다는 중국 정부의 계획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27일 ‘일본의 핵 유출이 중국의 핵에너지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웨이자오펑 중국전력기업연합회 부이사장은 “2020년까지 세워놓은 원자력 발전 계획이 10% 가량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특히 지진대에 위치하고 있는 랴오닝(遼寧)성과 푸젠(福建)성은 원전 건설을 재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은 지난 2005년 적극적인 핵 에너지 개발 전략을 세웠다. 2020년까지 핵발전용량을 최대 9000~1억kw까지 늘리고 원자력이 전체 전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7~8%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포함돼 있다. 지난해에는 현재 가동중인 원전 13기의 두 배가 넘는 28기의 원전을 건설,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원전 사업을 추진해왔다. .

하지만 웨이 부이사장은 일본의 원전 사고로 핵발전 용량이 최소한 1000kw 가량 줄어 들것이며, 원자력이 전체 전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를 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희라 기자/hanir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