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항 방사능측정기 대체 어딨지?”
입국한 내외국인들

검사장소 찾아 헤매고

방송도 안내판도 전무

수박 겉핧기 검사에 불안감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정부가 일본에서 들어오는 입국자를 대상으로 방사능 오염 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안내가 부족해 정작 입국한 내외국인은 검사 장소를 찾아 헤매야 하는 촌극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 18일 오후 5시께 도쿄를 출발한 한국행 비행기가 인천공항에 내려서자 수백명의 승객이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승객이 입국심사를 마치고 짐을 찾아 공항 밖으로 나올 때까지 기대했던 방사능 감시기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래 입국심사대 전에 있으나 이 같은 상황을 설명해주는 기내 방송이나 안내판이 전무했고, 감시기를 쉽게 찾아보기 어려워 대부분의 승객이 방사능 검사를 받지 못하고 지나친 것이다.

이미 검사를 놓친 사실을 안 일부 승객이 검사를 받고 싶다고 요구하자 공항 직원은 “이미 나왔으니 못한다. 대신 인근 원자력병원으로 가서 검사를 받으면 된다”고 말했다.

방사능 검사가 제대로 시행됐다 해도 희망자만을 상대로 한 검사에 불과해 국내 입국자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관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현재 방사능 오염 검사는 방사능 수치가 높게 나온 사람에 대해서도 강제적인 정밀검사나 제염 조치는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일본 입국자에 대한 방사능 검사가 실시된 지 닷새가 지났지만, 방사능 측정기가 있는 곳에 대한 안내가 부실한 데다 수박겉핥기식 검사로 입국자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사진은 인천공항 방사능 검사대.                                           이상섭 기자/babtong@heraldcorp.com

입국자의 옷이나 몸에서 검출된 방사능 물질은 전염되는 것은 아니지만 입국자가 다른 사람과 직접 접촉하게 되면 오염 물질이 옮겨 붙을 수 있고, 방사능 물질을 씻어낸 물이 토양으로 흘러들어가면 농작물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될 수도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네티즌은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국내 모든 공항과 항구의 방사능 검사를 의무화해달라’는 청원을 내고 서명운동까지 벌이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과학기술부의 한 관계자는 “입국자의 방사능 검사를 의무화하려면 법을 개정해야 하는데, 법 개정은 이른 시일 안에 이뤄질 수 있는 게 아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관계자는 또 “방사능 검사 의무화는 신체의 자유를 구속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교과부는 지난 17일 인천과 김포공항을 시작으로 김해공항까지 방사능 오염 검사를 실시했고, 20일에는 제주공항ㆍ동해항ㆍ광양항으로 오염 감시 장소를 늘렸다.

그러나 주부 김모(30) 씨는 “정부가 국민 안전보다 외국인 눈치를 더 살피는 것 같아 불안하다”고 밝혔다.

도현정ㆍ김상수 기자/kate01@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