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국제금융 경쟁력 ‘세계16위’

英 GFCI, 75개국 조사

비즈니스 환경·인프라 평가


작년보다 8단계 상승 역대최고

금융허브 가능성 톱3에 랭크


서울시의 국제금융 분야 경쟁력이 세계 75개 도시 중 역대 최고 성적인 16위에 올랐다.

서울시는 영국계 컨설팅 그룹(Z/Yen)이 매년 3월과 9월 발표하는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조사에서 지난해 24위에서 8계단 뛰어오른 16위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서울시가 2007년 3월 이 조사 평가대상 도시가 된 이래 역대 가장 높은 순위다.

서울시는 2007년 43위와 42위, 2008년 51위와 48위, 2009년 53위 등 하위권을 전전하다 2009년 하반기부터 35위, 지난해 28위와 24위를 기록하며 상승곡선을 그리기 시작해 이번 발표에서 16위에 올랐다.

GFCI는 세계 주요 도시의 국제금융경쟁력을 측정하는 대표적 지수로, 전 세계 금융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온라인 설문조사와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및 세계경제포럼(WEF) 등 외부기관이 평가하는 5개 분야(인적자원ㆍ비즈니스 환경ㆍ인프라ㆍ시장 접근성ㆍ일반 경쟁력)의 지수를 종합 산출한 것이다.

평가 대상 도시는 2007년 첫 회 46개 도시에서 현재는 75개 도시에 이른다. 이번 평가에서 서울은 ‘향후 금융허브로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도시 Top 3’에 상하이ㆍ싱가포르와 함께 지목됐고, ‘수년 내 금융기업이 해외지사 설립을 검토할 유망 도시 Top 4’에도 홍콩ㆍ상하이ㆍ싱가포르와 함께 선정되기도 했다. 

서울시의 국제금융경쟁력이 높아진 이유는 외국인이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운영해 온 총 17곳의 외국인지원센터와 덜위치칼리지 등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또 2009년 오세훈 시장이 직접 홍콩ㆍ싱가포르에서 열린 서울투자유치설명회에 참석해 서울 투자환경을 설명하는 등 뉴욕ㆍLAㆍ런던 등 국제 금융도시를 순회하며 다양한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펼쳐왔다.

마이클 헬백 SC제일은행 부행장은 “지난 몇 년 동안 서울의 외국인 주거환경이 크게 개선됐다”고 평가했고, 로버트 퀸리번 맥쿼리증권 전무는 “덜위치칼리지서울과 같은 우수 외국인학교가 있어 자녀 교육에 관심이 많은 외국 금융인에게 호평받고 있다”고 말했다.

신면호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은 “서울이 세계적인 금융허브 도시로 성장할 것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수년 내 금융회사 설립 등의 목적으로 각종 국제자본이 서울에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며 “서울을 국제적 금융클러스터로 조성하려는 서울시 정책 목표와도 부합하는 만큼 각종 제도 개선을 통해 서울을 세계 10위권의 금융도시로 올려놓겠다”고 말했다. 

김수한 기자/soohan@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