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외곽 8곳 수도권 중심거점으로 개발
서울 외곽도시가 경기도와 연계해 수도권 중심거점 도시로 개발된다.

서울시는 창동, 연신내, 문정 등 서울 외곽 8곳을 경기지역 도시들과 연계해 자족기능을 갖춘 수도권 중심거점 도시로 개발한다고 18일 밝혔다.

대상지는 창동ㆍ상계, 연신내ㆍ불광, 마곡, 문정ㆍ장지, 천호ㆍ길동, 망우, 대림ㆍ가리봉, 사당ㆍ남현 등 8곳이다.

김병하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서울 일대 신도시건설, 택지개발사업 등으로 수도권 주거지역은 확장되고 있으나 지역별 고용기반이 약해 거점별로 자족기능을 강화한 직주근접형 도시를 만들기로 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오는 4월 연구 용역을 발주해 내년 상반기까지 ‘수도권 차원의 공간구조 개편을 위한 광역거점 특화ㆍ육성방안’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일단 창동ㆍ상계, 연신내ㆍ불광, 문정ㆍ장지 지역 등 3곳에 대한 기본 구상을 세워놓고 용역 시행 및 의견 수렴과정에서 변경되면 이에 따르기로 했다.

창동ㆍ상계 지역은 의정부ㆍ동두천과 연계해 동북권의 중심지로 육성할 방침이다. 이 일대 인구는 서울 동북권 거주 인구 350만명, 경기도 북부 인구 150만명 등 500만명에 이른다. 이곳에 서울시는 산학역 벤처기능 등을 집적하고 상업ㆍ업무 기능, 쇼핑ㆍ문화 기능을 확충할 계획이다.

연신내ㆍ불광 지역은 고양, 파주와 연계해 서북권 경제 중심지로 육성한다. 고양의 영상문화 유통 기능에 더해 노인문화시설ㆍ공연장ㆍ전시장 등 복지문화 기능을 도입하고, 업무ㆍ상업 공간을 확충해 중심지 기능을 강화한다.

문정ㆍ장지 지역은 성남, 용인 등 수도권 동남부와 위례신도시 등을 연계한 미래형 복합도시로 조성한다. 업무ㆍ연구ㆍ생산

ㆍ물류기능이 복합된 비즈니스파크가 들어설 문정지구를 활용하고, 강남 IT산업 기반 업무를 지원할 연구ㆍ업무시설을 유치할 계획이다. 김 국장은 “서울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광역거점 도시가 발달되면 교통난 해소, 지역균형 발전은 물론이고 서울시가 경기도, 인천시와 상생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한 기자 @soohan2>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