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李대통령, ‘자원외교’ 연타석 홈런...한-UAE, 100년지기 우애 과시
〔아부다비ㆍ두바이=양춘병 기자〕이명박 대통령은 석유 메이저들의 각축지인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12억배럴(132조원어치)의 원유를 확보하고 15일 오후 귀국한다. 지난 2009년 12월 400억달러 규모의 원전 수주 후, 같은 땅에서 연거푸 이뤄낸 ‘자원 외교’ 성과다.

방문 수행단은 “ ‘2박4일’ 의 짧은 일정이었지만 ‘100년 지기’의 정을 확인했다”는 한 목소리였다. 실제로 원전에 이은 또 한번의 쾌거 뒤에는 양국 정상간의 두터운 신뢰가 있었다.

이 대통령은 14일 오후(이하 현지시간) 두바이 동포들을 만난 자리에서 “칼리파 UAE 대통령이 ‘한국은 아랍형제국보다 더 가까운 나라라고 주변국들이 부러워한다’고 했다”며 양국간 남다른 우의를 전했다.

2인자인 모하메드 왕세자는 13일 유전 양해각서(MOU) 서명식을 끝내고 자신의 전용호텔격인 카스르 알 사랍호텔로 이 대통령을 초대해 저녁을 함께 했다. 앞선 오찬에서는 자신이 키운 낙타고기를 직접 대접하기도 했다.

원전과 유전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모하메드 왕세자에게 수차례 전화를 걸고, 7~8회에 걸쳐 친서를 전달한 이 대통령의 정성에 대한 화답이었다.

이 대통령과 UAE 지도자들의 인연은 채 2년이 되지 않는다. 양국 지도자들의 상호 방문도 이 대통령이 2번, 모하메드 왕세자가 한 번, 짧게는 ‘1박3일’, 길게는 ‘3박4일’의 일정이었다. 그러나 기술ㆍ사람을 가진 한국과 자원ㆍ자본을 가진 UAE간의 이상적인 결합을 머릿 속에 그린 이 대통령의 구상은 보기 좋게 현실이 됐다.

UAE가 경험이 부족한 한국에 원전과 유전을 잇따라 맡기는 대신 한국은 포스트-오일시대를 대비하는 UAE의 ‘미래비전 2030’의 물적, 기술적 지원을 약속하는 ‘윈윈’ 해법이었다.

한편 방문 첫날 알-아인에 있는 아크 부대를 방문하고, 13일 정상회담과 기자회견 일정을 소화한 이 대통령은 14일 오전 브라카 원전예정부지 기공식에 참석해 원전공사 진행 상황을 보고 받았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한국형 원전이 중동지역에서 좋은 모델이 될 것” 이라며 “원전건설 협력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더욱 공고해 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오후에는 두바이 통치자인 모하메드 UAE 총리를 만나 “향후 양국이 환경분야에서 함께 선도적인 역할을 해나가자”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두바이 월드트레이드센터에서 열린 ‘자이드 국제환경상’ 을 수상하고, 장소를 그랜드하얏트호텔로 옮겨 수행 기자단과의 만찬 간담회를 가진 뒤 귀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양춘병기자@madamr123> 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