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상하이 스캔들>속속 드러나는 전모...기밀유출 경로-덩실체 등 의문점 여전
정체가 명확하지 않은 30대 중국여성 한명에게 우리 외교관 3명이 농락당한 ‘상하이 스캔들’의 전모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상하이 영사관에서 근무하다 귀국한 외교부, 법무부, 지식경제부 소속 영사 3명과 ‘상하이녀(女)’의 부적절한 관계와 기밀유출 의혹 등을 조사했던 국무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실은 8일에 이어 9일에도 김정기 전 총영사를 불러 추가 조사를 벌일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9일 본지와 통화에서 “김 전 총영사를 오늘 하루 더 불러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직복무관실은 김 전 총영사를 상대로 여권 핵심 인사들의 전화번호 등 기밀이 유출된 경로와 이번 스캔들의 핵심 인물인 중국 여성 덩신밍(33)씨와의 관계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스캔들의 전모는 상하이 주재 총영사관에서 근무하던 우리 외교관 3명이 덩씨와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덩씨의 부탁을 받고 비자를 부정발급해주고 큰 이권이 걸린 한국비자 신청대리권을 줬다는 것. 여기에 이명박 대통령과 수행원들의 상하이 방문 일정과 국내 주요 정관계 인사 200여명의 정보, 상하이 총영사관의 비자발급 현황 등이 덩씨에게 대거 흘러들어갔다는 것이다.

한국인 남편과 지난 2001년 결혼한 덩씨는 상하이 주재 영사관의 한국 외교관들에게 계획적으로 접근, 자신의 이익을 챙기면서 정보를 빼 간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인 남편 진모(37)씨에 따르면, 덩씨는 2006~2007년 즈음부터 상하이에 공무원으로 취직했다며 바깥으로 돌기 시작했다고 한다. 덩씨가 한국 외교관들과 본격적으로 접촉하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2008년 즈음으로 추정된다.

덩씨는 법무부, 지경부, 외교부 소속 영사 3명은 물론 김정기 전 상하이 총영사와도 친밀하게 지낸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실 관계자는 “3명의 영사 중 2명은 덩씨와의 부적절한 관계를 시인했다”고 전했다. 특히 지경부 소속 K 전 영사의 경우 덩씨에게 “내 사랑은 영원히 변치 않을 것”이라는 친필 서약서까지 써줬다. 이에 대해 K씨는 9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서약서를 쓰기 전날 (덩씨로부터) 받은 쪽지가 있다. 애들에 대한 협박”이라며 강압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상하이 스캔들의 전말이 속속 드러나고 있지만 풀리지 않는 의혹도 여전하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 외에 덩씨에게 추가로 들어간 기밀이 있는지, 정보유출의 정확한 경로는 무엇인지 등에 대한 것이다. 김 전 총영사는 전날 총리실 조사에서 “덩씨에게 유출된 자료 중 일부는 내가 갖고 있던 자료가 맞으나 어떻게 유출됐는지는 모르겠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덩씨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외교관들이 과연 몇 명인지도 명확치 않다. 상하이 교민사회에선 덩씨와 긴밀하게 접촉했던 외교관이 몇명은 더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 현지 진출 한국 기업인 등과도 폭넓게 교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덩씨에 대한 조사와 관련, 총리실 관계자는 “정 필요하다면 다른 기관과 연계해서 조사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건 외교적인 문제와도 관련이 있고 우리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라며 현실적인 어려움을 토로했다. 때문에 이번 사건의 진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검찰 등 수사당국이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안현태ㆍ조현숙 기자 @godmarx>pop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