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구 13억인데 일손이 없다니…
중국 진출 한국기업 ‘노동리스크’ 급증
농민공들 동부서 내륙으로 이동

임금 인상 불구 인력확보 어려워


급여·복리후생따라 이직 추세

당국도 친기업서 친노조로

외자기업에 임금집단협상 압박도


중국 진출 기업들의 ‘노동리스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최저임금을 포함한 임금의 추세적 인상에 이어 구인난이 새로운 애로요소로 급부상하고 있다.

9일 산업계에 따르면, 중국 동부연안 진출 기업들의 인력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기업이나 전문가들은 이제 ‘노동리스크’를 최대 현안으로 주저없이 꼽고 있다.

이는 산업화 후반기에 진입한 이 지역의 경우 서비스업 비중이 커지고 있는 데다 개발이 진행 중인 중ㆍ서부(내륙)와 본격적으로 인력 유치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산둥성에 제2공장을 둔 한 대기업의 협력사 대표는 “지난 춘제(春節ㆍ설) 이후 귀향했다 돌아오지 않는 근로자가 예년보다 더 많다”며 중국의 인력관리가 점점 어려워짐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그는 “인력 및 노무관리가 현지 진출 기업들의 현안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국제노동협력원 관계자도 “급여수준, 복리후생, 근로환경에 따른 이직이 일반화되는 추세”라며 “이제 농민공과 신세대 농민공 모두 사용자를 평가하고 업종별로 선별해 선택하기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중국은 도농 간 격차 해소 차원에서 동부연안에서 내륙(중ㆍ서부)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이에 따라 농민공들이 고향과 가깝고 물가가 싼 내륙 중소도시로 대거 옮겨가면서 인력 확보가 예전처럼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현지 고등중학교(고등학교) 학생에 대한 입도선매 시기도 1년가량 빨라졌다. 예를 들면, 고등중 2학년 때 미리 채용계약을 하고 3학년 졸업과 함께 채용하는 방식이 성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산둥성 웨이하이 진출업체 관계자는 “2006년 처음 진출 당시 직공 평균임금이 우리돈 월 15만원 정도였으나 5년 지난 지금은 80만원을 주고도 사람 구하기가 쉽지 않다”며 “제품 전략도 이제 중고가로 전환하지 않으면 안 될 지경”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중국이 ‘루이스전환점’을 이미 넘어섰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루이스전환점이란 개발도상국에서 더 이상 농촌 잉여노동력을 확보할 수 없어 임금이 오르기 시작하고, 고성장세도 둔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고소득자에 대해서는 징세를 늘리고 저소득층의 면세점을 상향 조정하고 있는 것도 인력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중국 임금조례는 공회(노조)가 있는 기업의 경우 2012년까지 집단협상제도를 단계적으로 정착시키도록 규정하고 있다. 공회가 없는 소기업의 경우 일종의 산별노조처럼 지역별 집단협상을 권장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평복 코트라 칭다오센터 고문은 “중국이 저임금은 올리고 고임금은 제한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숨통을 틔워주려 하면서도 ‘임금집단협상’을 강제하려 한다”며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5만∼20만위안의 벌금을 부과하며 외자기업들을 압박 중”이라고 말했다.

국제노동협력원은 “중국 노동정책이 친(親)기업에서 노동자 쪽으로 기울고 있다. 노사문제도 개별적 관계에서 집단적 관계로 전환되고 있어 기업들은 특히 이를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 당국과 전국총공회(노총)가 동일노동 및 동일임금 원칙 확립과 함께 단체협상 제도화를 역점 추진하고 있다. 2012년까지 이를 정착시키는 게 목표”라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 당국은 최근 전국인민대표자대회에서 2011∼2015년 경제개발계획 기간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7%로 1%포인트 낮추고, 최저임금은 매년 13%씩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래저래 기업들의 어깨를 짓누르는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