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방경제 위험 수위”
대한상의 실태 보고서 발표

인력·자본 감소 기반약화 심각


산업인력이 갈수록 줄어들고 자본이 역외로 유출되는 등 지방경제의 기반 약화가 위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3일 발표한 ‘통계로 본 지방경제 실태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방의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10년전만 해도 1782만명으로 수도권에 비해 200만명 가량 많았지만 지난해 1742만명으로 줄어 오히려 수도권(1818만명)에 비해 70만명 가량 적었다.

이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돼 2030년이면 1387만명까지 떨어져 수도권(1743만명)에 크게 뒤질 것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특히 연령대별 인구 분포에서도 향후 20년간 지방의 고령층 인구(55~64세)는 34.1% 늘지만 청년층(15~29세)은 42.3%나 줄어들 것으로 전망돼 심각성을 더했다.

지방은 생산가능인구 뿐 아니라 기업 비중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만 해도 전국에서 지방 사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55.2%였으나 지난 2009년 53.2%까지 떨어졌다.

자금 역외유출도 큰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지역 총예금의 약 34%를 담당하고 있는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 지역밀착형 금융기관 수신고(2009년 213조3000억원) 중 77조8000억원이 수도권 여신이나 투자로 빠져나갔다. 수도권으로의 유출 자금이 36.4%에 이른 셈이다. 이에따라 지방경제 성장세가 둔화, 지역내 총생산에서 지방경제는 2000년 52.3%를 차지했으나 2009년 51.2%로 줄어들었다.

대한상의는 이에 지역산업계 인력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과정 확대 등을 통한 인력수급 여건 개선과 지방기업 전용 투자펀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지역기업에 대한 자금공급을 진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관광산업의 저변확대와 활성화를 유도할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이동근 상의 부회장은 “투자여건 개선과 함께 고용창출 효과가 큰 관광산업과 지역특화 산업을 적극 발굴ㆍ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상 기자/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