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제역 가축 매몰지 반경 300m이내 학교ㆍ음식점 총 436곳
구제역 가축 매몰지 반경 300m 이내의 지하수를 사용하는 학교 급식소 및 일반음식점이 전국적으로 436곳에 이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영희 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구제역 가축 매몰지 인근 지하수 이용 학교급식소 및 음식점, 도시락 제조업체 현황’ 자료에 따르면, 구제역 가축 매몰지 반경 300m 이내의 지하수를 사용하는 학교급식소는 어린이집 1곳, 초등학교 13곳 등 총 18곳, 일반음식점은 418곳 으로 조사됐다. 다행히 도시락 제조업체는 구제역 가축 매몰지 반경 300m 이내에는 없었다.

지역별로는 경기지역이 가장 많았다. 학교급식소 13곳(어린이집 1곳, 초등학교 10곳, 중학교 2곳), 일반음식점 335곳 등 348곳으로 80%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인천이 42곳(9.6%, 학교급식소 4곳, 일반음식점 38곳), 강원이 30곳(6.9%, 학교급식소 1곳, 일반음식점 29곳), 충남이 12곳(2.8%, 일반음식점 12곳), 경북이 4곳(일반음식점 4곳)으로 뒤를 이었다. 그 밖에 서울을 비롯한 다른 지역은 구제역 가축 매몰지 인근 300m 이내의 지하수를 사용하는 학교급식소 및 일반음식점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초단체별로는 경기도 이천시, 양주시, 포천시와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집중됐다. 경기도 이천시의 경우 학교 12곳(초등학교 10곳, 중학교 2곳) 및 일반음식점 178곳 등 총 190곳에서 구제역 가축 매몰지 반경 300m 이내의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어 학교급식소의 67%, 일반음식점의 41%를 차지했다. 그 밖에 경기도 양주시도 일반음식점이 68곳이나 됐고, 포천시의 경우도 어린이집 1곳을 비롯해 40곳의 일반음식점에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경우도 학교 4곳(초등학교 3곳, 중학교 1곳) 및 음식점 36곳이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 의원은 “정부가 지난 2월28일 전국 7개 시ㆍ도, 72개 시ㆍ군에 국비 2163억, 지방비 926억 등 총 3089억원을 들여 상수도 보급이 시급한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지원하기로 국무회의에서 결정, 상반기 중으로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면서 하지만, “개학과 봄나들이를 대비하여 구제역 가축 매몰지 반경 300m 이내의 지하수를 사용하는 학교급식소와 일반음식점 지역에 최우선적으로 상수도 보급이 필요하며, 상수도 보급 전까지 지하수 오염 여부에 대해 철저한 추적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도제 기자 @bullmoth>

pdj2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