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에선 농수산물·밖에선 유가…한국경제 ‘사면초가’
2월 물가급등 원인·배경
중동불안…2월 석유류 급등

전년비 12.8%나 치솟아

공업제품에도 볼똥 확산


농축산물도 구제역등 영향

6개월째 두자릿수 상승

서민경제 주름살 더 가중


통계청이 집계한 올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5%나 된다. 지난 1월 4.1%로 4%대를 돌파한 물가 상승률은 불과 한 달 만에 4% 중반으로 올라섰다. 한국은행이 내세운 물가안정 목표치 2~4%를 두 달 연속 넘어선 셈이다. 물가가 우리 경제를 해치는 수준까지 치솟았다는 뜻이다.

오르기만 하는 석유 가격과 농축수산물 값이 ‘물가 쇼크’를 불러왔다. 중동지역의 반정부 민주화 시위로 촉발된 국제유가 상승은 국내 물가 불안으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올해 2월 석유류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2.8%에 달했다. 작년 5월(14.0%)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휘발유(전년비 11.1%), 경유(14.6%), 등유(19.3%), 자동차용 LPG(12.4%) 모두 급등한 탓이다.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정국 불안이 국제유가를 천정부지로 밀어올리고 있다. 이미 월평균 가격이 심리적 마지노선인 배럴당 100달러를 넘겼다. 에너지 가격에 구조적으로 민감하고 취약한 한국 경제에 비상이 걸렸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지난 1월 두바이유 평균 가격은 배럴당 90달러를 넘어선 92.55달러였고, 지난달 결국 100달러 선까지 넘어섰다. 원유 가격 상승은 석유제품 값 급등으로 자연히 이어졌고, 공업제품 전반의 가격을 끌어올리는 문제로까지 번졌다. 지난달 공업제품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5.0%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농축수산물 물가 문제는 더 심각하다. 올해 2월 농축수산물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7.7% 급등했다.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다.

작년 말 불 붙은 신선식품 물가 불안 사태는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지난달 배추(전년비 94.6%), 파(89.7%), 마늘(78.1%), 돼지고기(35.1%), 고등어(44.6%), 고춧가루(23.0%) 등 채소, 농산물, 축산물 가릴 것 없이 가격이 크게 올랐다. 구제역 직격탄을 맞은 국산 쇠고기 값만 전년 동월 대비 8.5% 내렸을 뿐이다.

농축수산물 중에서도 신선식품 물가난은 더욱 심각하다. 지난달 신선식품 물가는 1년 전과 비교해 25.2% 급등했다. 10~40%를 오가는 신선식품류의 기록적인 가격 상승세가 지난해 6월부터 지속됐다.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AI), 이상기후 등 여러 악재가 한꺼번에 겹치면서 장바구니 물가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전ㆍ월세난도 물가지표에 고스란히 드러났다. 올해 2월 전세 가격 상승률은 전년 동월비 3.1%, 월세는 1.9%였다.

이 가운데 전세 상승률은 2004년 2월(3.3%)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올라섰다.

조현숙 기자/newea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