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키 리졸브·독수리 훈련 어떻게…...전면전 대비 美항모 출격…WMD 제거부대도 참가
한ㆍ미 연합훈련인 ‘키 리졸브(Key Resolve) 연습’과 ‘독수리 훈련(Foal Eagle)’이 28일 오전 시작되면서 군은 만일 있을지도 모를 북한군의 도발에 대비,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키 리졸브(2300명) 및 독수리(1만500명) 훈련에는 해외미군과 주한미군 1만2800명이, 한국군은 동원예비군을 포함해 20여만명이 참가한다. 또 한ㆍ미 연합방위능력을 철저하게 점검하기 위해 지난 2009년 존 스테니스호(9만6000t급) 참가 이후 2년 만에 미 항모도 참여한다.
키 리졸브 연습은 한반도 유사시 미군 증원전력의 원활한 전개를 위해 매년 실시하는 지휘소훈련(CPX)으로 올해는 이날부터 다음달 10일까지 11일 동안 남한 전역에서 실시된다. 이번 연습에는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제20지원사령부의 대량살상무기(WMD) 제거부대도 참가해 북한의 핵 및 미사일 등의 제거훈련을 실시한다.
한ㆍ미 연합야외기동훈련인 독수리 훈련(Foal Eagle)은 이날부터 4월 30일까지 지속된다. 합참 관계자는 “올해 키 리졸브 및 독수리 훈련은 전면전 상황에 대비해 ‘작전계획 5027’에 따라 실시한다”고 밝혔다.
한미연합사는 “키 리졸브 연습은 대한민국을 방어하고 모든 잠재적인 위기상황에 대응하는 전투준비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방어적 성격의 훈련”이라며 “여러 달 전에 계획된 것으로 현 세계 정세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전협정 규정에 의해 한국으로 증원되는 장비와 병력을 감시하는 중립국감독위원회의 국제참관단 10여명이 방어적 성격인지 확인하기 위해 두 훈련을 참관한다고 연합사는 설명했다.
군은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감시 태세를 강화했으며,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군사분계선(MDL) 접적 지역 부대 등에서는 상향된 감시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북한군은 최근 NLL 이북 서해안 포병부대와 해군부대에 특별경계근무태세를, 나머지 부대에는 전투동원태세 명령을 각각 하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 관계자는 “현재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포착되지 않고 있으나 북한군도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고 전했다.
북한 판문점대표부는 전날 성명을 통해 “키 리졸브, 독수리 합동군사연습이 우리의 핵 및 미사일 제거를 노리는 이상 우리 군대와 인민은 침략자들의 핵 공갈에는 우리 식의 핵 억제력으로, 미사일 위협에는 우리 식의 미사일 타격전으로 맞서나갈 것”이라고 반발했다.
한미연합사는 미국 본토에서 전개되는 병력을 위한 사전비축장비 열차수송(3일)과 경기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실시되는 미 스트라이커부대 실사격 훈련(7일), 일본 오키나와 가데나 기지에서 대구기지로 전개되는 병력과 장비(8일) 등을 언론에 공개할 계획이다. 김대우 기자/dewki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