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출산율 꼴찌’ 부산, 오명 벗었다 “2030년까지 전국 평균 수준 출산율 달성”
15년째 ‘늙은 도시’란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부산에 지난해 신생아 출산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997년 시도별 출산율 통계발표 이후, 줄곧 꼴찌에서 탈출해본 적이 없던 부산시의 지난해 출생아수 증가율이 8.8%를 기록해 전국 최고 수치를 나타냈다.

통계청이 지난 발표한 ‘2010년 출생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출생아수는 46만9900명으로 2009년도 44만4800명에 비해 2만5100명(5.6%)이 증가했으며, 합계출산율은 1.22명으로 전년도 1.15명보다 0.07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6개 시도별 출생아수, 합계출산율(가임기 여성이 평생 낳는 신생아 수)은 전년도 대비 모두 증가했으며, 부산시의 경우 출생아수 2만7300명으로 2009년 2만5100명보다 8.8%가 증가했다. 합계출산율은 1.04명으로 2009년 0.94명 대비, 10.6%나 증가해 전국 최고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처럼 부산의 출산율이 큰 폭의 증가율을 보인데는 지역 경제 활성화도 한 몫을 했지만, 2006년부터 시작된 부산시의 저출산대책이 효과를 내기 시작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담팀을 구성하고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을 추진해왔으며, 2010년을 ‘초저출산사회 극복 원년의 해’로 선포하고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부산’을 위해 차별화된 시책을 개발해 추진한 결과이다.

부산시는 그 동안 2010년 출생한 둘째 아이에게 취학 전까지 보육료 전액을 지원하고, 셋째 이후 아이 출생의 경우는 보육료 전액을 비롯해 초ㆍ중ㆍ고의 급식비 및 학비 지원과 대학입학시 첫 등록금까지 지원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매년 100억원씩 모아 출산장려기금 총 1000억원을 조성하고 있다.

또한 올해들어 출산장려를 시정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 획기적이고 다양한 장려시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출산율 제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여성의 지위향상과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시책 등에 역점을 두고 정책적 노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구체적 사업으로는 여성근로자의 출산 및 양육부담 완화를 위해 중견기업 CEO와 인사책임자 등이 참여하는 ‘CEO 포럼’ 개최할 예정이며, 남성의 공동육아 참여환경 조성을 위한 출산전 예비아빠와 자녀를 둔 아빠를 대상으로 한 ‘아빠와 함께 하는 육아교실’을 운영한다. 또 ‘임산부 및 다자녀가정 배려 캠페인’ 전개로 임산부와 다자녀가정을 배려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장난감ㆍ유아용품 중고장터’ 운영, 초ㆍ중ㆍ고 학생 및 교사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부산시 관계자는 “이제 부산은 2010년 출산율 최저도시 오명을 벗은 것을 계기로 2015년까지 점진적으로 출산율을 회복해 2030년까지 전국 평균 수준의 출산율을 달성할 계획이다”며 “출산과 양육에 대한 부담을 낮추고 출산친화적인 정책을 펼쳐 직장생활과 자녀양육을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윤정희 기자 @cgnhee>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