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탈북자 66%, 정부 정착지원금 北에 보내”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에게 돈을 보내는 탈북자의 60%이상이 정부로부터 받은 정착지원금을 송금액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사단법인 ‘새롭고 하나된 조국을 위한 모임’(새조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이 단체가 1년 이상 국내에 거주한 30세이상 탈북자 350명을 상대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 북한으로 송금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가 전체 응답자의 71.4%인 250명이었으며, 이 중 66.2%가 정착지원금을 송금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정부는 국내에 입국한 탈북자들에게 정착기본금과 주거지원금, 고용지원금 등을 지급하고 있으며, 정착기본금은 1인 가구 기준으로 600만원에 달한다.

정착지원금 외에 ‘저축’(33.8%), ‘외부지원’(11.7%)이 뒤를 이었고, 돈을 빌려 송금하는 경우(7.8%)도 있었다. 또 송금 경험자 중 52.8%는 브로커에게 송금액의 30%를 수수료로 냈다고 응답, 상당수가 비싼 수수료를 감수하고 북한에 돈을 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송금 규모를 보면 연 1∼2회 돈을 보낸다는 응답이 80.8% 였고, 1회당 송금액은 ‘100만∼199만원’이 47.6%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8월 현재 30세이상 국내 거주 탈북자는 1만1157명(통일부 자료 기준)으로, 이 조사를 적용한다면 연간 약 120억원이 북한으로 송금되는 셈이 된다. 탈북자 10명 중 8명은 북한의 가족이 자신들이 보낸 돈으로 ‘생계유지’에 쓴다고 답했고 ‘장사밑천’(4.9%)이나 ‘빚 갚기’(3.7%) 등에 사용된다는 응답도 있었다. 이번 설문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59%다.

<안현태 기자 @godmarx>pop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