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영철 복지공단 이사장 “산재 근로자 직업복귀율 70%에 도전”
우리나라에는 매년 10만명 정도 근로자들이 산업재해를 입는다. 이들 가운데 원직에 복귀하는 근로자는 10명 가운데 6명 정도. 나머지 4명은 복귀하지 못한다. 산재 정도가 심한 까닭도 있지만, 재활 훈련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탓도 있다. 산재 근로자들의 현장 복귀를 위해 뛰어든 사람이 바로 신영철(54)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이다. 직업 복귀율에 올인하는 이사장은 근로복지공단 16년 역사 중에 신 이사장이 처음이다.

그가 산재 근로자들의 직업 복귀율에 집착하는 까닭은 고용노동부 관료로 있는 동안 산업 재해로 인한 피해가 적지 않다는 것을 잘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산재는 사회적인 노동력 손실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사회 생활에서 도태되는 원인이 된다. 한 명의 근로자를 떠난 한 가정이 피폐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런 까닭에 신 이사장으로 지난해 7월 취임하면서부터 산재 근로자 직업복귀율 만큼은 무슨 일이 있어도 올려놓겠다는 결심을 했다. 정부 산하 기관장들이 기관 평가에 몰두하는 요즘에도 그의 마음을 사로 잡고 있는 것은 직업 복귀율이다.

우선 신 이사장은 임기가 끝나기 전에 산재 근로자들의 직업 복귀율을 70%선으로 올려놓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그는 “유럽 국가의 경우 직업 복귀율이 대부분 70%를 넘어서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지난해 64% 정도의 복귀율을 기록했는데, 임기 중에 70%선으로 올려놓겠다”고 말했다. 산재 근로자들의 직업 복귀율이 70%선에 이르게 되면, 1만명 산재 근로자가 추가로 작업 현장에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산재 가족 4만명이 행복을 되찾게 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도 상당히 구체화되고 있다. 직업복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재 발생 처음부터 직업 복귀를 염두해 둬야 하는데, 이 것이 바로 신 이사장이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개인별 맞춤별 통합서비스’이다. 지금까지는 산재가 발생하면 급성기 치료 이후 의료 재활을 하는 데 그쳤지만, 이제부터는 직업 재활과 함께 취업지원 서비스까지 병행해 원직 복귀를 돕는 형식으로 바뀌게 된다.

여기에는 산재 근로자에 밀착해 서비스를 제공할 케이스 매니저 역할이 크다. 신 이사장은 “산재 처음부터 원직 복귀를 전제로 치료와 훈련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의 밀착 서비스가 필수”라며, “이를 담당할 케이스 매니저 2급을 지난해 20명 정도 육성했으며, 올해에는 55명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 이사장의 임기는 2013년 7월까지이다. ‘OECD 1위 산재 사망율’이라는 오명을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OECD 1위 산재 근로자 직업 복귀율’이라는 꽃을 피울 밑거름을 얼마나 만들 수 있을 지 기대된다.

<박도제 기자 @bullmoth>
pdj2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