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때 이른 축산정책관 공모…시스템·매뉴얼부터 정비를
일요일인 지난 13일 오후, 농림수산식품부가 ‘축산정책관’ 자리를 일반에 공모한다는 뉴스가 ‘조용히’ 흘러나왔다.
축산정책관은 우리나라의 가축전염병에 대한 방역대책을 비롯한 축산 정책을 총괄하는 최고 실무자리다. 농식품부 내에 11개에 불과한 국장 자리 중 하나다.
농식품부는 “경질이 아닌 보다 전문적인 인력을 충원하자는 의미”라고 설명했지만,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 않다. 여전히 구제역과의 전쟁은 진행 중인데 장수를 갈아치우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공모에는 정부의 말못할 고민도 담겨있다.
축산정책과는 농식품부 내에서 점점 비선호 부서가 되고 있다. 지난해에만 세 번 발생한 구제역에, AI(조류인플루엔자)까지 겹치면서 전국민들에게 ‘욕만 바가지로 먹는’ 자리가 됐다. 한ㆍ미, 한ㆍEU 등 자유무역협정의 확대 속에 풀어야 할 난제가 가장 많은 곳도 축산정책과다. 그렇다보니 당당하게 나서는 사람이 없다.
민간의 축산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에서 과연 누가 지원하겠나”면서 벌써부터 공모의 실패를 예상하기도 한다. 경질성이든 “책임을 지겠다”는 해당 고위 공무원의 결단에 의한 것이든 이번 공모가 시기적으로 적절한지는 의문이다.
구제역으로 수백만마리의 가축이 안타깝게 땅속에 묻혔다. 경제적 피해도 수조원에 달한다. 그런 만큼 분명히 누군가는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하지만 공무원만 바꾼다고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되는 것은 아니다. 이번 구제역의 쓰라린 경험을 기억하면서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시스템과 매뉴얼을 가다듬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여느 때보다 ‘반면교사(反面敎師)’가 필요한 때다. 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