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EBS·방과후학교 그나마 효과
2010년 사교육비 절감 분석자료 들여다보니
경북·충남 비용감소 최고

과목별로는 국어가 으뜸


15일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2010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 및 분석 자료에서 눈에 띄는 점은 중학생의 사교육비 감소율이 두드러졌다는 것이다. 또 방과후학교와 EBS(교육방송) 방송 등 ‘사교육 보조재’를 활용한 학생들의 사교육비 절감 효과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에 따르면 초등학교는 24만5400원에서 24만5200원으로 전년(2009년)에 비해 200원 줄어든 데 반해 중학교는 5000원(26만원→25만5000원)이나 감소했다. 김성천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 부소장은 “지난해 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 입시부터 도입된 자기주도학습전형에 따라 학생들이 토플 등 공인영어시험에 대한 부담이 줄면서 이에 대한 사교육 수요가 줄어든 것 같다”고 분석했다.

16개 시ㆍ도별로 보면 ▷서울(32만1000원) ▷경기(27만1000원) ▷대구(25만원)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전국 평균(24만원)보다 높았고 ▷전북(16만4000원) ▷전남(16만8000원) ▷충북(17만4000원) 등 나머지 13개 지역은 평균보다 낮게 나왔다. 전년 대비 감소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북(5.1%) ▷충남(4.8%) ▷경남(4.2%) 등이었으며 반대로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전북(4.5%) ▷전남(3.1%) ▷제주(2.8%) 등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숱한 대책을 내놨음에도, 월평균 사교육비는 2000~5000원 줄어드는 데 그쳤다. 여전히 심야 학원은 성업 중이고, 일부는 단속을 피해 주택가 깊숙이 파고 든 것으로 분석된다. [헤럴드경제 사진DB]
과목별로는 국어(2만2000원→2만1000원), 사회ㆍ과학(1만6000원→1만4000원) 등이 감소하고 수학(6만7000원→6만8000원)은 오히려 늘었다. 해마다 사교육 수요의 주범으로 평가됐던 영어(8만원)는 전년과 동일했다.

사교육 수요를 학교에서 흡수하기 위해 운영하는 방과후학교 참여율은 2009년 51.3%에서 지난해 55.6%로 늘었으며 방과후학교 수업을 듣는 학생이 듣지 않는 학생보다 사교육비를 연간 51만원 적게 지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EBS 교재를 구입한 학생의 비율은 20.8%로 전년(17.2%)보다 늘었으며, 일반고의 경우 9.9%포인트 증가했다. EBS 방송에 참여하는 학생은 중학교 15만원, 일반고 7만원 정도의 연간 사교육비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 수준별로 보면 거의 모든 성적 수준에서 감소했지만 성적 수준 상위 31~60% 학생의 경우는 23만2000원에서 23만3000원으로 증가했다. 또 소득 수준별로 보면 거의 모든 소득 수준에서 줄었지만 100만원 미만의 경우 3.3%(6만1000원→6만3000원) 증가했다. 신상윤 기자/ken@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